섹션

부산개발원조총회 29일 개막… 원조 새 패러다임 제시

[재경일보 이영진 기자] 개발원조 분야의 '올림픽'으로 꼽히는 부산 세계개발원조총회가 29일부터 다음달 1일까지 160여개국 정부 대표, 의회ㆍ국제기구ㆍ시민사회ㆍ학계 대표 등 3,5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부산에서 열린다.

이명박 대통령과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 힐러리 클린턴 미국 국무장관, 토니 블레어 전 영국 총리, 폴 카가메 르완대 대통령 등 세계 160여개국의 정상ㆍ각료급 정부대표, 앙헬 구리아 OECD 사무총장과 장 핑 아프리카연합(AU) 집행위원장 등 70여개국 국제기구 대표, 의회ㆍ시민사회ㆍ학계 대표 등 개발원조 분야의 주요인사들이 대거 참석한다.

사상 최대규모의 국제 원조회의로 평가되는 이번 총회는 2003년 로마, 2005년 파리, 2008년 아크라(가나)에 이어 역내 네번째로 열리는 것으로, ‘원조’에서 ‘개발’로의 새로운 개발원조 패러다임과 청사진을 논의하는 무대라는 점에서 국제사회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원조를 받던 수혜국에서 원조를 주는 주요 공여국으로 전환된 국가로서는 사상 최초로 개최하는 국제 원조회의다.

총회는 29일 오전 9시 부산 벡스코에서 '파리선언 이후 진전상황'을 주제로 첫 전체회의를 갖는 것으로 공식 일정에 들어간다.

첫날에는 전체회의에 이어 파리선언과 아크라 행동계획의 이행상황을 점검하고 향후 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주제별 분과세션과 개발원조 논의의 초점을 '원조효과성'에서 '개발효과성'으로 전환하기 위한 분과세션이 오전과 오후 각각 열린다.

이어 토니 블레어 전 영국 총리가 주관하는 '아프리카 개발 리더십'(Africa Governance Initiative) 회의가 개최된다. 또 국제의회연맹(IPU)과 아프리카를 위한 유럽의회연합(AWEPA)이 공동 주재하는 의회포럼과 청소년포럼이 잇따라 열린다.

총회는 이틀째인 30일 오전 9시30분 이 대통령과 반 사무총장, 클린턴 미 국무장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공식 개막식을 연다. 이 대통령과 반 총장은 이 자리에서 기조연설을 한다.

이 자리에서 각국 주요인사들은 '원조효과성'보다는 '개발효과성'에 중점을 두고 선진국과 신흥개도국, 시민단체, 민간단체 등 다양한 공여주체들이 협력하는 '포괄적 글로벌 파트너십'을 구축하는 내용의 고위급 선언을 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어 클린턴 장관과 라모스-오르타 동티모르 대통령, 유엔여성기구(UN Women) 사무총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양성평등 특별세션이 열려 개발성과를 위한 양성평등 제고와 여성의 역량강화를 논의한다.

이날 오전과 오후에 걸쳐 진행될 전체회의에서는 파리선언 이후 미완의 과제와 개발환경의 다양성과 변화가 논의되고 고위급 이니셔티브가 발표된다. 또 반 총장과 구리아 OECD 사무총장, 김성환 외교장관,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 글로벌 콤팩트 코리아 회장, 미 국무부 산하 국제개발처(USAID) 청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다.

총회는 3일째인 1일 오전 최종 전체회의를 열어 원조와 개발에 대한 새로운 합의를 담은 '새로운 글로벌 파트너십에 관한 부산선언(Busan Partnership for Effective Development Cooperation)'을 채택하고 폐막한다.

부산선언은 개발효과성에 초점을 맞춰 부산선언의 이행상황을 점검ㆍ평가할 새로운 국제 거버넌스를 출범시키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며, '지속 가능한 개발결과(Sustainable Development Result)'라는 목표 하에 4대 원칙과 5개 행동계획을 담을 것으로 알려졌다.

또 부산선언에 따른 개발원조의 이행상황을 점검ㆍ평가할 새로운 국제 체제의 출범도 제안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이번 총회에서 개발 원조의 패러다임을 서구 선진국 주도에서 선진국과 신흥국이 함께하는 파트너십 체제, 정부 주도에서 민관(民官) 협력 체제로 전환할 것으로 보여 기대를 모은다.

또 ‘원조효과성’에서 ‘개발효과성’으로 협력분야를 확대하고, 이를 바탕으로 총회에서 합의한 사항의 이행을 위한 새로운 체제를 구축하는데 초점을 맞출 것으로 보인다. 부산 총회를 마지막으로 각국 정상들이 모이는 세계개발원조총회를 마감하는 만큼 부산선언의 이행 여부를 현장에서 평가하는 방향으로 전환한다는 것이다. 정부 당국자는 이에 대해 “더 많은 원조(more aid)에서 더 좋은 원조(better aid)로 가는 의미”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