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이영진 기자] 2014학년도부터 고교 내신제도가 현행 상대평가에서 절대평가 방식으로 바뀐다.
성적은 현행 9등급제에서 성취도에 따른 A~F로 이루어지는 6단계로 표시한다.
상대평가가 아니라 절대평가이기 때문에, 학생들이 전원 90점 이상을 받으면 모두 A 학점을 받게 된다. 기존에는 상대평가였기 때문에 자신이 우수한 성적을 받아도 다른 학생이 더 우수한 성적을 받으면 성적이 상대적으로 좋지 않게 나올 수 밖에 없었다.
석차를 표시하지 않고 '성적 부풀리기'를 막기 위해 원점수(100점 만점으로 채점한 원래 시험점수)와 과목평균, 표준평가(평균에서 떨어진 정도)는 그대로 제공한다.
중학교와 특성화고는 내년부터 새 방식이 적용된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이런 내용의 '중등학교 학사관리 선진화 방안'을 마련해 2012~2013학년도 시범 운영을 거쳐 2014학년도에 전면 시행할 계획이라고 13일 밝혔다.
설동근 교과부 1차관은 “ ‘너의 성공이 곧 나의 실패’가 되는 기존의 상대평가 제도는 공동체 의식을 저해해 인성교육에 어려움이 많았다”며 “2014년부터 모든 고교 교육과정이 선택형으로 전환됨에 따라 절대평가제 도입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이 방안에 따르면, 2014년부터 고교 내신이 현행 9등급 상대평가 방식에서 A-B-C-D-E-(F)의 6단계 절대평가 방식으로 전환된다. 학년ㆍ과목별 단위로 석차를 매겨 상대평가하는 게 아니라 교과목별 성취기준ㆍ평가기준에 따라 성취수준을 절대평가한다.
단, 최하위 F를 받을 경우 해당과목을 재이수하는 `재이수제'는 2013학년도에 시범운영한 뒤 2014학년도에 도입 여부를 검토키로 했다. 이르면 2015학년도에 도입될 가능성도 있지만 유동적이다.
성취도의 수준은 성취율로 구분한다. A는 90% 이상, B는 90% 미만~80% 이상, C는 80% 미만~70% 이상, D는 70% 미만~60% 이상, E는 60% 미만~40% 이상, F는 40% 미만이다.
기존 9등급 상대평가 제도에서는 학생들의 석차를 서열화한 뒤 정해진 비율대로 등급을 매겼지만, 절대평가 제도에서는 A~F를 매길 때 제한된 비율이 없다.
학교생활기록부의 성적 기재방식도 달라진다.
고교 학생부에는 석차등급 표기를 빼고 6단계 성취도를 적는다. 평가의 난이도, 점수 분포 등을 알 수 있도록 현행처럼 원점수와 과목평균, 표준편차를 함께 적는다. 절대평가이기 때문에 교사가 시험문제를 쉽게 내 학생들에게 무더기로 A를 주는 '내신 부풀리기'가 일어날 수 있어, 원점수와 과목평균, 표준편차를 학교생활기록부에 병기하도록 한 것이다. 또 학교별로 A~F를 받은 성취도별 학생 분포 비율을 공시하도록 해 A 비율이 지나치게 많은 학교에는 인사·행정상 불이익을 줄 방침이다.
마이스터고ㆍ특성화고는 실습 비중이 높은 전문교과를 배우는 점을 감안해 내년 1학기부터 성취평가제를 바로 도입한다.
중학교 학생부는 `수ㆍ우ㆍ미ㆍ양ㆍ가' 표기 방식을 `A-B-C-D-E-(F)'로 변경한다. 석차를 삭제하고 고교와 마찬가지로 원점수, 과목평균, 표준편차를 병기한다.
교과부는 '성적 부풀리기'를 막기 위해 성취도별 학생분포 비율을 정보 공시하도록 하고 관리 실태를 점검한다.
교과부는 절대평가제 도입과 별도로 중고교 내신평가에서 서술형 평가와 수행평가의 비중을 늘리기로 했다. 2013학년도까지 시도별 특성을 감안해 20~40% 이상으로 서술형 평가를 확대하도록 권장할 계획이다.
또 교과부는 학교교육 중심의 대입전형 정착을 위해 2011학년도부터 대학 입학사정관제 지원사업을 평가할 때 반영한 `신입생 구성의 다양성'(지역ㆍ소득ㆍ고교유형 등) 지표를 지속적으로 반영하기로 했다. 지역균형선발, 입학사정관제 등을 통해 농어촌과 중소도시 일반고 학생의 진학 기회를 늘릴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