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이영진 기자] 정부가 2018년 평창 겨울올림픽에 대비해 기존 철도망인 경의선, 경원선, 중앙선을 활용해 인천공항~평창 노선 구축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위원회가 내놓았던 인천공항에서 평창까지의 고속철도를 놓겠다던 계획은 사실상 무산되게 됐다. 정부는 경제성이 없고 애초 합의된 바 없는 사업이라는 입장이다.
하지만 93분으로 예상되는 소요시간을 68분으로 단축하기 위한 태스크포스팀을 구성해 대책 마련에 나섰다.
국토해양부는 4일 "경제성 등을 고려할 때 기존 중앙선을 경유해 인천공항~평창을 연결하는 방안이 가장 타당한 것으로 최종 결론이 났다"며 "곧 평창올림픽조직위원회와 관련 내용을 협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국토부는 이에 따라 당초 방침대로 원주~강릉 구간에만 복선 고속철도 노선을 구축하고 인천공항부터 원주까지는 기존선을 활용한다.
국토부의 계획대로 인천공항철도~경의선~경원선~중앙선~원주ㆍ강릉선을 활용하는 철도망이 구축되면 인천공항에서 올림픽 시설이 모여있는 알펜시아 클러스터까지는 93분에서 103분이 걸리게 된다.
이는 올림픽 유치시 인천공항에서 평창까지 68분만에 주파하는 고속철도를 건설하겠다고 국제올림픽위원회(IOC)에 약속한 평창올림픽 조직위원회의 구상과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이다.
지난해 7월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를 위한 프레젠테이션에서 유치위는 교통대책으로 인천공항에서 평창까지 고속철도를 건설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김연아(평창 유치위 홍보대사)는 당시 프리젠테이션에서 "2017년에 고속철이 건설되면 단 68분만에 인천공항에서 평창까지 올 수 있다"고 했었다.
정부는 인천공항에서 평창까지 250킬로미터 구간에 고속철도를 만드는데 약 10조원이라는 막대한 비용이 들지만, 올림픽이 끝나면 이용자가 적어 경제성이 없다는 것이 이유로 고속철도 건설이 어렵다는 입장이다.
정부는 또 고속철도 건설계획은 처음부터 없었고, 당시 유치위가 합의하지도 않은 채 이 같은 내용을 발표했다고 밝혔다.
국토부는 한국교통연구원이 자체 세미나 등을 통해 제시한 새로운 노선 건설 등은 건설비도 많이 들 뿐 아니라 정부안과도 시간적인 면에서 별 차이가 없기 때문에 추진할 계획이 없음을 분명히 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또 유치위가 제시한 68분에 대해 "올림픽 유치 당시 제시한 68분은 중앙선을 활용해 인천공항부터 평창까지 시속 250㎞로 논스톱으로 달릴 경우를 가정해 산출한 시간"이라며 "하지만 현실적으로는 경의선, 경원선, 중앙선 노선에서는 그 정도 속도가 나오지 않는다"고 해명했다.
즉, 올림픽유치위가 제시한 68분은 설계속도로 따진 것인 반면, 실제 열차 운행속도를 감안하면 국토부의 계산대로 93분이 도출된다는 것이다.
한편, 국토부는 25분 차이를 줄이기 위해 국토부, 철도시설공단, 코레일, 한국교통연구원 등 철도 관계자들로 '평창올림픽 지원 철도수송대책 태스크포스'를 구성해 조만간 본격 가동한다.
국토부 관계자는 "신호 체계를 바꾸고 기존 설로를 정비한다면 인천공항~평창 소요 시간을 최대한 68분에 가깝게 맞출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국토부는 올림픽조직위원회와 협의해 올해 상반기 안으로 인천공항~평창을 잇는 철도망 구축의 최종 방안을 결정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