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김송희 기자] 일본 기업들이 막대한 현금과 엔고를 앞세워 해외에서 공격적인 기업 인수·합병(M&A)에 나서고 있다.
내수 한계에 부딪힌 일본 기업이 생존을 위해 해외 M&A에 나서고 있다는 분석이다.
일본의 종합상사인 마루베니는 지난 29일(현지시간) 미국의 3대 곡물 유통업체인 가빌론을 56억 달러에 인수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올해 일본 기업의 해외 M&A 중 가장 큰 규모이며, 세계 M&A 시장에서는 7번째 규모다.
지난주에는 재팬타바코가 벨기에의 담배회사인 그리슨 NV를 6억 달러에 인수하겠다고 제의했으며, 다케다제약은 브라질의 제약업체를 2억4천600만 달러에 인수하겠다고 밝혔다.
맥주업체인 아사히와 장난감 제조업체인 토미 등 내수 업체들도 해외 M&A에 나서고 있다.
미쓰비시상사는 인도네시아 등지에서 해외 자원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이처럼 활발한 해외 M&A와 해외 투자로 일본 기업의 해외 투자액은 올해 들어 현재까지 340억 달러에 달하고 있다.
이런 추세가 하반기까지 계속해서 이어진다면 올해 일본 기업의 전체 해외 투자액은 연간 기준으로 최대를 기록했던 지난해의 840억 달러와 비슷한 수준이 될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일본의 지난해 해외 투자 규모는 록펠러 센터, 유니버설 스튜디오 등을 사들였던 1980년대와 1990년대 수준의 3배에 근접하는 것으로, 이에 따라 지난해 해외 투자 순위도 전년의 세계 9위에서 3위로 껑충 뛰어올랐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 같은 일본 기업의 해외 M&A에 대해 과거의 M&A는 과시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졌다면 최근의 M&A는 생존 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다고 30일 분석했다.
계속되는 인구 증가 둔화와 고령화 등으로 인해 내수 시장이 위축되고 경기 침체도 장기간 이어지면서 이제는 기업의 생존을 위해 해외 시장으로 눈을 돌릴 수밖에 없게 됐다는 것이다.
또 높은 임금 수준과 지난해 원자력 발전소 사고 등으로 전기 요금이 올라 일본 국내에서 생산하면 경쟁력이 떨어져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해외 진출을 모색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미즈호파이낸셜그룹의 사토 야스히로 최고경영자(CEO)는 "일본 기업들이 해외 진출 이외에 다른 선택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며 "일본의 기업의 해외 M&A는 생존의 문제"라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일본 기업의 막대한 현금 보유액은 해외 M&A를 위한 충분한 동력이 되고 있다.
일본 기업은 1980년대 자산 거품이 붕괴한 이후 경비 절감과 부채 감축 등을 통해 미국 기업의 현금 보유액 2조2천억 달러보다 많은 2조6천억 달러의 현금을 보유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