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박성민 기자] 대한제과협회와 대기업 프랜차이즈 간 갈등이 벌어지고 있다.
5일 대한제과협회는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관에서 300여개 베이커리업체와 소상공인단체들이 참여한 가운데 기자회견을 열고 "파리바게뜨·뚜레쥬르의 횡포와 불공정 행위로 인해 동네빵집 피해가 확산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김서중 대한제과협회 회장은 "대기업 프랜차이즈인 파리바게뜨와 뚜레쥬르가 골목 상권을 침해하는 불공정 행태로 인해 2000년 1만8천여개였던 동네빵집이 현재 4천여개로 급감했다"며 "하지만 같은 기간 1천500여 개였던 대기업 프랜차이즈는 5천200여 개로 세배 이상 급증했다"고 말했다.
대한제과협회에 따르면 베이커리 시장은 2007년 8천34개였던 전국 동네 빵집이 지난해 5천184개로 34% 감소했다. 반면 같은 기간 대기업 프랜차이즈 빵집은 3천489개에서 5천290개로 무려 152% 급증해 동네 빵집을 앞질렀다.
김 회장은 "기업의 인지도와 자금력으로 동네빵집이 사라질 위기에 처해 있다"며 "동네빵집과 자영 제과점이 폐업함으로 제과점 당 6~7명의 인력이 일자리를 상실하고 있고 생존을 위협받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대기업의 프랜차이즈가 계속 불공정 형태로 빵집을 확장할 경우 더 큰 규모의 행동으로 강력히 대응하겠다"고 덧붙였다.
대형 제빵 프랜차이즈기업의 시장 진출이 규제되는 중소기업 적합업종 지정과 관련해 대기업 프랜차이즈 측은 중소기업 적합업종 지정과 관련해 양측이 상생 방안에 대해 잠정 합의했으나 제과협회 측이 상생 발전 기금으로 50억원을 요구해 합의가 결렬됐다고 주장했다.
대기업 프렌차이즈업계는 김 회장은 연구소 설립 기금의 명목으로 업계 측에 50억원을 요구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업계 관계자는 "연구소 설립기금이라고 50억원을 요구하는 등 제과협회의 수장으로서 이해 할 수 없는 행동"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대한제과협회는 제과업종이 중소기업 적합업종에 지정되도록 동반성장위원회와 새누리당, 민주통합당에 성명서를 제출할 계획이다.
또는 업계는 김 회장이 협회를 파행적으로 운영하고 있다고 비판한다.
제과협회에는 프랜차이즈 베이커리 가맹점주가 절반 가까이 가입 돼 있고 또 제과협회 이사회에 파리바게뜨, 뚜레쥬르 등 프랜차이즈 본사 및 가맹점주가 다수 포함돼 있는데 개인 베이커리만의 단체인 것처럼 호도하고 있다고 말한다. 김 회장은 프랜차이즈 '빵굼터(현재 67개)' 가맹본부 사장으로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같은 와중 협회 소속 일부 프랜차이즈 가맹점주들은 불협화음을 보이고 있기도 하다. 98명은 현재 협회 측에 ▲개인 베이커리와 프랜차이즈간의 화합과 상생 제시 ▲대한제과협회 회원수 및 회부납부 실적 공개 ▲협회장 직선제 선출 등을 요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