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안진석 기자] 한국의 남녀간 임금격차가 39%에 달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남자의 월급이 100만원이라면, 여자는 60만원이라는 의미다.
OECD는 또 한국의 여성경제활동 참가율이 20년 전 수준에 머물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저출산에 따른 노동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이 비율을 끌어올리는 것이 대안이라고 조언했다.
OECD가 18일 발표한 <양성평등 보고서>에 따르면, 기업 관리직 가운데 여성 비율은 약 10%로 OECD 평균의 3분의 1이며, 남녀 간 임금 격차는 39%로 OECD 회원국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여성기업인 비중이 지난 10년간 꾸준히 증가하긴 했지만 아직 25% 미만에 머물고 있다.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20년 전과 거의 비슷한 55%로 OECD 평균(65%)보다 10%포인트 낮다.
출산율이 감소하는 만큼 상대적으로 자녀 1명당 교육비가 늘어 여성의 교육 수준도 괄목할만한 수준으로 높아졌고, 학업성취도 국제비교연구(PISA)에서 여학생의 읽기 능력이 남학생보다 우수한 것으로 평가됐다. 대학 졸업자 비율도 남녀 간 큰 차이가 없다.
보고서는 교육 분야에서의 이 같은 성취가 노동시장의 성과로 이어지지는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육아휴직, 보육제도 개선 등 가정과 직장일 병행에 도움을 주는 정책 변화에도 장시간 근로, 퇴근 후 회식, 연공서열에 따른 승진 등의 직장 문화가 존재하는 한 정책 효과는 제한적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특히 지속적인 저출산으로 2018년부터 근로 연령층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을 남성 수준으로 끌어올린다면 이런 노동력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를 위해선 남성이 가정에서 더 많은 역할을 하고 한국의 직장문화가 좀 더 가정친화적이 돼야 하며 유연근로시간제, 부성휴가제, 성과에 따른 임금체계 등이 자리 잡아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