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2권 기획의 완결판"자유롭고 행복한 글쓰기란 무엇일까"
-특별 부록 '글쓰기 직문직답' 수록!

[책소개]
이 책 한국어 글쓰기 강좌2《고종석의 문장》은 당대의 대표적인 문장가 고종석의 글쓰기 강의를 녹취 정리한 것으로, 공학적 측면을 넘어선 글쓰기 기술의 심원한 풍경이 흥미 진진하게 펼쳐진다. 강연은 2013년 9월부터 12월까지 석 달 동안 모두 열두 차례에 걸쳐 숭실대학교에서 진행되었다. 이 책은 1권에 이어 뒤의 여섯 강(講)을 정리한 것이다.
SNS시대의 글쓰기 민주화 현상을 긍정하면서도, 그것이 개인의 행복과 사회의 정의에 기여할 수 있도록 '새로운 방향의 글쓰기 교육'을 제안한다. 숱한 글쓰기 책들처럼 테크닉에 함몰된 교육은 되레 파괴적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글로 다른 사람을 상처 주"거나 "글을 사람 잡는 흉기로 쓰"는 사람이 생길 수 있는 것이다. 고종석이 한국어 글쓰기 강좌 1 "고종석의문장"의 기조를 2권에서도 이어, 글쓰기 테크닉의 비중만큼이나 인문 교양 강의에 무게를 두는 까닭이 여기에 있다.
저명한 비평가의 글을 한줄 한줄 강독하며 세밀한 읽기의 모범을 보여주는가 하면(1강), 언어에 나타나는 구별짓기의 여러 양상을 관찰하며 글의 이면에 있는 인간의 욕망에 주목한다(2강). 또 정치와 광고 분야의 전략적 언술에 분석적으로 접근해, 비판적 읽기와 효과적 글쓰기를 동시에 도모한다(3강). 이러한 교양 강의는 근현대 역사와 정치ㆍ시사 상식, 언어학적 교양을 활달하게 넘나들며 이루어진다. 글쓰기 교육과 인문 교양 강의의 이 절묘한 만남은 "글 쓰는 삶이란 곧 생각하는 삶이다"라는 잊기 쉬운 기본 명제를 가만히 상기시킨다.
4강 '로마자표기법과 외래어표기법'과 5강 '은유와 환유'에서 그 면모가 화려하게 드러난다. 가령 그는 한글을 로마문자로 표기하는 것을 주제로 하여 매큔-라이샤워식과 문화부식과 예일식 등의 세 가지 방법을 설명하면서, 음성-음소-형태음소와 관련한 이론 지식의 자세한 풍경을 펼쳐 보인다. 또 엔도님과 엑소님이라는 다소 생경한 개념을 강의의 한복판으로 끌고 와서는, 인명ㆍ지명 등 고유명사와 관련한 이론적 정리를 시도한다. 사실 이들 강의의 내용은 어떤 독자들에게는 일견 글쓰기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어 보일 수도 있다.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미루어 생각해보면 그가 한 단어 한 단어 써내려갈 때마다 얼마나 많은 것들을 고려했는지 알 수 있고, 이는 다시 우리에게 좋은 글쓰기의 조건, 좋은 글쟁이의 자세에 대해 성찰해볼 여지를 행간에 자욱하게 남겨놓는다.
특히 6강 '글쓰기를 묻다'와 특별 부록 '글쓰기 직문직답直問直答'을 빼곡히 채우고 있는 문답들이 특기할 만하다. 첫 문장을 쓰는 방법부터, 글의 주제를 잡는 법, 구성과 전개 방법, 독창적 발상법, 그리고 메시지를 극대화하는 방법까지 친절하고 상세하게 알려준다. 수강생 혹은 청중들과 직접 소통하며 강의한 것이라, 피부에 와닿는 실전 밀착형 조언이 두드러진다. 6강에서 글쓰기 전반에 대한 포괄적인 문답이 오간다면, '글쓰기 직문직답'에서는 글쓰기를 할 때의 보다 구체적인 어려움에 대한 문답이 이루어진다. 자신의일생을 글쓰기로 건축한 이 문장가는 자신의 지식과 경험을 모두 아울러, 현실적이고 공감을 자아내는 어드바이스를 제공한다.
물론 글을 쓸 땐 되도록 쉬운 말을 쓰려고 애써야 하지만, 늘 쉬운 말만 쓰다보면 어휘는 영원히 늘지 않을 거예요. 글을 잘 쓰려면 어휘를 늘려야 합니다. 그렇다고 사전 구석 어디에서 다른 사람들이 아무도 모르는 말을 막 가져다 쓰라는 말은 아닙니다. 적어도 그 사회에서 통용되고 있는 말이라야 하죠. (73P)
강조를 하기 위한 부사들은 되도록 피하는 게 좋습니다. 정말 꼭 써야 할 자리에만 쓰기를 권합니다. 그래야 읽는 사람이 '이 사람은 냉철하게 생각하는 사람이구나. 흥분된 상태에서가 아니라 차분하게 이성적으로 글을 쓰고 있구나', 이렇게 느낍니다. (170P)
자기편에 대해선 항상 좀더 좋은 이미지를 가진 단어를 사용하고, 상대편에 대해선 되도록 나쁜 이미지를 가진 단어를 사용하는 게 이런 전략적 글쓰기에선 중요합니다. 가르랑말과 으르렁말의 빈번한 사용은 전략적 글쓰기의 핵심입니다. (200P)
로마문자는 인류가 발명한 문자들 가운데 가장 널리 쓰이는 문자이고 앞으로도 그럴 것입니다. 한국어처럼 로마문자를 사용하지 않는 언어를 쓰는 나라에서도, 예컨대 거리의 간판을 보면 꼭 한글 간판만 있는 게 아니죠? 로마문자 간판이 한글 간판보다 더 많지는 않겠지만 상당히 많아요. 어쩌면 어떤 동네에선 로마문자 간판이 한글 간판보다 더 많을지도 모르겠습니다. 특히 부자 동네에서는요. (253P)
글을 쓸 때는 반드시 사실 확인을 해야 합니다. 글은 공적으로 일단 발표되면 말처럼 날아가버리는 게 아니라 기록으로 남기 때문입니다. 하긴 요즘은 말도 남아 있는 세상이 돼버렸지만요. (374P)
사실 글로 얽힌 논쟁의 많은 부분이 글을 잘 못썼다거나 오독을 해서 벌어지거든요. 만약 글쓰기나 읽기 훈련이 안 되어 있다면 불필요하고 소모적이고 때로는 파괴적일 수 있는 입씨름들이 인터넷 시대엔 더 많아질 거예요. 대중적 글쓰기는 가능할 뿐만 아니라 필수적이라고 생각합니다. (456P)
■이 책은 크게 여섯 부분으로 나뉜다
ㆍ좋은 글이란 무엇인가?
ㆍ구별짓기와 차이 지우기
ㆍ전략적 글쓰기
ㆍ로마자표기법과 외래어표기법
ㆍ은유와 환유
ㆍ글쓰기를 묻다
저자소개
고종석
1959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성균관대학교와 파리사회과학고등연구원EHESS에서 법학과 언어학을 전공하고, 서른 해 가까이 신문기자로 일했다. 지은 책으로는 한국어 크로키 《사랑의 말, 말들의 사랑》《어루만지다》《언문세설》《국어의 풍경들》, 사회비평집《서얼단상》《바리에떼》《자유의 무늬》《신성동맹과 함께 살기》《경계 긋기의 어려움》, 문화비평집 《감염된 언어》《코드 훔치기》《말들의 풍경》, 역사인물 크로키《여자들》《히스토리아》《발자국》, 영어 크로키《고종석의 영어 이야기》, 시 평론집 《모국어의 속살》, 장편소설《기자들》《독고준》《해피 패밀리》, 소설집《제망매》《엘리아의 제야》, 여행기《도시의 기억》, 서간집《고종석의 유럽통신》, 독서일기《책 읽기, 책 일기》, 인터뷰 《고종석의 낭만 미래》 등이 있다. 2012년 절필 선언 이후 '고종석 선집'(전5권: 소설, 언어, 시사, 문학, 에세이)이 기획되었으며, 현재 첫째 권인 소설집 《플루트의 골짜기》가 발간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