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뚜기가 지난 달 25일 '건강한 삶, 건강한 카레∙향신료'란 주제로 '제 6회 카레 및 향신료 국제 심포지엄'을 더케이호텔 서울 컨벤션센터에서 개최했다.
한국식품과학회가 주최했고 오뚜기가 후원했다.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대학교수, 언론인, 식품 및 의약학 관련 연구원 등 다양한 계층의 인사 약 300여명이 참석했다.

국내외를 대표하는 전문가들이 카레 원료인 강황의 다양한 생리 활성효과와 활용에 대한 연구성과를 발표했다. 또한 이번 행사에서는 전 세계인이 즐기는 음식으로 자리잡은 카레를 활용한 다양한 응용요리와 향신료가 전시되기도 했다.
제1부 '카레·향신료를 통한 성인병 예방' 세션에서는 전북대학교 채한정 교수가 '스트레스성 간 대사이상 시 강황 적용 연구'이라는 주제로 간 기능에 대한 커큐민의 효능을 발표했다. 이화여자대학교 권영주 교수는 '커큐민의 대사증후군 조절 기전'이라는 연구결과를 통해 커큐민이 지방 세포와 대식세포의 상호 작용과 그 상호 작용에 의해 유발된 염증을 약화시켜 대사 증후군을 예방하고 치료하는데 유용하다고 발표했다.
제2부 '카레·향신료 유래 항암활성' 세션에서는 서울대학교 Marc Diederich교수가 '카레 유래 천연 화합물 유도체의 암세포 사멸 경로에 관여하는 조절 기전'을 발표하며 미래의 항암 치료제로서의 새로운 해결책을 제시했다.
같은 학과의 서영준 교수는 '커큐민의 암예방 효능 기전에 관한 연구'를 통해 최근 카레 유래 향신료 성분의 항암활성에 대한 최근 연구결과를 발표하며 커큐민 임상평가를 위한 충분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제3부 '카레·향신료의 생리활성 증진 기술 개발' 세션에서는 향신료 활성 성분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기술에 대한 발표가 진행됐다.
미국 Rutgers대학교 Qingrong Huang교수는 '나노에멀젼을 활용한 향신료 유래 파이토케미컬의 생리활성 증진 효과'에 대한 내용을 통해 기능성 식품의 한계를 넘어설 수 있는 나노에멀젼의 활용방안에 대해 설명했다.
서울대학교 김도만 교수는 '생물전환 커큐미노이드 생체이용성 강화 고령친화 식품소재 개발'에서 강황에 대한 다양한 실험을 통해 미래 소재로서의 카레 및 향신료의 새로운 가능성에 대해 제시했다.
이 심포지엄은 오뚜기의 후원으로 지난 2008년 부터 개최되고 있다. 제6회 카레 및 향신료 국제심포지엄은 일상식이자 건강식품으로 주목 받고 있는 '카레'에 대한 다양한 연구 발표를 통해 건강한 식문화 정착에 기여하는 자리가 됐다고 오뚜기는 전했다.


오뚜기 관계자는 "카레 및 향신료 국제 심포지엄이 카레와 향신료 연구의 지적 교류의 장으로서 앞으로도 건강한 식 문화 정착에 기여하는 행사가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