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中경제, 무역전쟁 아닌 일자리가 문제…심각해질 것“

미국과의 무역전쟁이 새해 중국 경제의 최대 악재라는 분석이 많지만, 진정한 문제는 중국 산업의 임박한 구조조정과 일자리 부족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됐다.

허용학 퍼스트브리지 대표는 2일 연합뉴스와의 신년 인터뷰에서 "중국이 미국과의 무역전쟁을 치르느라 힘든 것은 사실이지만, 미·중 무역전쟁이 양국 경제에 위기를 불러올 정도로 극단적으로 악화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허 대표는 JP모건 아시아 인수·합병(M&A) 대표, HSBC 아시아 투자은행(IB) 부문 대표 등을 역임했으며, 홍콩의 중앙은행이자 국부펀드인 홍콩금융관리국(HKMA)의 대체투자 최고투자책임자(CIO)를 7년이나 맡은 저명 금융인이다.

그는 "미국과 중국 모두 무역전쟁이 극단으로 치달을 경우 양국 경제에 치명적인 피해를 준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며 "재선을 원하는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나 국내 정치의 안정을 원하는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 모두 이를 원하지 않으며, 일정 선에서 타협을 모색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허 대표는 지금 중국 경제가 안고 있는 최대 문제는 무역전쟁이 아닌 일자리라고 분석했다.

자동차산업의 구조조정과 저부가가치 수출 제조업의 해외이전 등으로 중국 내 일자리가 부족해질 수 있으며, 이는 심각한 소득 불평등과 더불어 중국 사회에 상당한 불안을 가져올 수 있다는 진단이다.

허 대표는 "중국 자동차 시장의 성장률은 올해 들어 마이너스로 돌아섰으며, 이는 과잉생산을 해소하기 위한 구조조정이 불가피함을 의미한다"며 "특히 허약한 체질을 지닌 국영 자동차 제조업체는 더는 구조조정을 미룰 수 없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중국 자동차 시장은 중국제일자동차그룹(FAW), 둥펑(東風), 충칭창안(重慶長安) 등 국영 자동차 기업들의 주도 아래 고성장을 누려왔지만, 지난해 말부터 자동차 판매량이 전년 동기 대비 급감하는 등 침체를 면치 못하고 있다.

허 대표는 "프랑스, 이탈리아 등 국영 자동차 기업을 육성하려고 했던 나라는 예외 없이 실패했다"며 "자동차산업이 수만 개의 협력업체를 거느린 중국의 대표적인 일자리 창출 산업이라는 점에서 국영 자동차 기업의 구조조정은 일자리 측면에서 상당한 파문을 불러올 것"이라고 전망했다.

여기에 더해 중국 내 저부가가치 수출 제조업체들이 최근 베트남, 캄보디아 등으로 생산시설 이전을 서두르고 있어 일자리 문제는 올해 중국 정부의 최대 당면 과제가 될 가능성이 크다고 그는 진단했다.

홍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