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와 기아가 자율주행 자동차 카메라 센서에 묻은 이물질을 스스로 제거하는 기술을 공동개발했다고 전했다.
양사는 카메라를 보호하는 커버 글라스를 회전시키면서 소형 와이퍼를 장착해 흙과 먼지 등의 오염을 제거하는 '로테이터캠'(Rotator-Cam) 기술을 최초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최근 자동차 업계에서 화제인 자율주행 자동차는 그 편리성 때문에 많은 관심을 모았으나, 상용화를 위해서는 여러 문제가 아직 남아 있었다.
그 중 하나가 바로 센서 클리닝 기술으로, 자율주행 AI의 눈이나 다름없는 카메라 센서는 매우 예민해서 조그만 이물질만 묻어도 치명적인 오류가 발생할 수 있었다.
현재 가장 대중적인 클리닝 기술은 기존 차량과 비슷하게 노즐을 통해 워셔액을 분사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 방식은 비가 올 때 워셔액이나 빗방울이 렌즈 표면에 뭉치면서 오히려 시야에 방해가 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 전동식 와이퍼 블레이드를 이용해 물리적으로 닦아내는 방식도 계속 움직이는 와이퍼가 시야에 방해가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양사는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카메라 렌즈 덮개인 커버 글라스를 회전시키는 방식을 채택했다.
이번에 공개된 ‘로테이터캠’ 방식은 AI가 오염을 감지하면 렌즈 덮개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워셔액이 분사된다.
이후 워셔액이 오염을 일차적으로 제거하고, 렌즈 덮개에 설치된 소형 와이퍼가 덮개와 같이 회전하며 남은 워셔액을 닦아내는 원리다.
또 비가 오는 상황에는 AI가 이를 감지해 워셔액 분사 없이 덮개만을 회전해 물방울로 인한 시야 저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로테이터캠의 특징은 와이퍼와 워셔액 노즐이 일체형으로 설계되었다는 점으로, 오염제거 성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워셔액의 낭비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커버 글라스를 활용한 센서 클리닝 기술에는 내부에 습기가 차 시야를 가리는 문제도 있었는데, 로테이터캠에는 내부 프로펠러도 달려있어 바람을 통해 습기가 차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현대차와 기아는 로테이터캠이 상용화할 경우 운전자가 아예 필요하지 않은 완전 자율주행에서 센서를 보호하기 위한 최적의 솔루션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양사는 현재 해당 기술에 대한 특허를 신청한 상태이며, 내구성 및 성능 테스트를 거친 뒤 본격적인 양산 여부도 검토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