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쌍용C&E, 8000억원 규모 탄소 배출 감출 설비 투자

쌍용C&E가 시멘트 생산에 따른 환경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2030년까지 약 8000억 원 수준의 대규모 설비 투자에 나선다고 6일 밝혔다.

쌍용 C&E는 자발적인 사회적 책임을 실천하기 위해 탄소배출량 및 대기오염물질을 저감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2018년을 기준으로 향후 2030년까지 25% 이상, 2050년까지는 53%를 감축한다는 계획과 함께 탄소포집기술의 도입 등을 추진할 전망이다.

현재 시멘트 산업의 경우 화석 연료 등을 사용해 1500℃ 이상의 초고온으로 가열해 석회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탄소가 발생한다.

이 때문에 시멘트는 발전, 철강, 석유화학 다음으로 탄소 발생이 많은 산업으로 손꼽힌다.

이에 쌍용C&E는 대체 연료 사용, 저탄소 원료 대체율 향상, 신기술 개발 등을 통해 탄소 저감 솔루션을 적용하기로 했다.

우선 소성공정에서 사용하는 화석연료를 대체할 연료 사용 확대를 추진한다.

쌍용 C&E는 지난해 이미 2200억 원을 투자해 관련 설비와 인프라를 구축하는 1차 투자를 진행한 바 있다.

이후 1400억 원을 추가 투자해 화석연료 사용량을 더 줄이고, 최종적으로 오는 2030년애는 시멘트업계 최초로 탈석탄화를 실현한다는 계획이다.

또 탄소 배출이 많은 석회석을 대체할 수 있는 생석회 공급원을 지속 확대하고, 시멘트 공정에 특화된 탄소포집 기술 도입 및 활용을 통해 추가적인 탄소 감축도 추진한다.

이와 함께 시멘트 제품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대기오염 등 환경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설비 투자를 확대할 전망이다.

쌍용 C&E의 동해 시멘트 공장
쌍용 C&E의 동해 시멘트 공장 [쌍용 C&E 제공]

한편 쌍용 C&E는 탄소 외에도 질소산화물 배출 저감을 위해 정부가 시행하는 저감기술 실증사업에도 참여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오는 2030년까지 질소산화물 배출량을 현재 수준 대비 30% 이상 감축한다는 목표다.

이현준 쌍용C&E 사장은 "환경개선을 위한 대규모 투자로 전 세계적인 목표인 탄소중립을 실현하고, 환경 영향을 최소화해 지속성장 발전할 수 있는 회사로 도약하겠다"라는 포부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