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추억의 틈새라면 ‘매니아층을 노린다’

1981년, 명동 골목길 한 켠에 자리 잡은 작은 라면가게는 '맛집'으로 입소문이 퍼지며 연일 문전성시를 이뤘다. 30년 가까운 시간이 흘러 작은 라면가게 '틈새라면'은 대표적인 골목길 브랜드의 성공사례로 꼽히기에 이르렀다.

하지만, 180개가 넘는 가맹점 확보와 GS리테일 전용 PB제품 출시까지, '틈새라면'의 성공스토리에 한국야쿠르트가 함께 있었다는 것을 아는 사람은 드물다.

20년 넘게 양산 브랜드 라면을 사용하던 '틈새라면' 측에 먼저 손을 뻗은 것은 한국야쿠르트였다. 기존의 면발에 익숙해진 단골손님들이 많은 상황에서 전용면으로 재료를 바꾼다는 것은 큰 모험이었다. 하지만 수많은 시도 끝에 품질은 높이며 가격은 낮춘 최적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뒤이어 2005년에는 한국야쿠르트가 납품하는 GS리테일 전용상품에 '틈새라면' 브랜드를 사용하기에 이르렀다.

'보다 화끈하게 매운맛'을 필요로 한 고객들은 기존의 라면 대신 '틈새라면'을 집어 들었다. 4년 만에 '틈새라면'은 GS리테일 내 라면점유율 1위를 기록하기에 이르렀고, 시장성을 확신한 한국야쿠르트는 유통채널을 일반 슈퍼 및 할인점으로 확장하기로 결정했다.

2009년 상반기 봉지면의 시장규모는 6,50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 중 소위 빅3로 불리우는 '신라면', '안성탕면', '삼양라면'을 합한 매출이 절반을 넘고, 기타 브랜드들이 '춘추전국시대'를 형성하고 있다. 다만 시장상황이 과거에 비해 변화하고 있는 점은 하위 브랜드들이 '매니아층'을 굳건히 하고 있다는 점이다.

한국야쿠르트는 '프리미엄급' 제품으로 발매함과 동시에 경쟁사의 고급제품군의 가격대보다는 낮게 책정하여 빠른 '매니아층' 공략을 도모한다는 계획이다. '팔도 틈새라면 빨계떡' 브랜드를 연간 200억원 이상의 매출을 창출하는 브랜드로 육성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