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원회가 '관치 금융'이라며 논란거리가 됐더 미소금융재단의 재원 마련과 관련해 해명했다.
김광수 금융서비스국장은 16일 기자간담회에서 "은행권이 출연하기로한 2천500억은 외환위기 당시 부실채권정리기금에 출연했다가 돌려 받을 이익 배분금 6천억 가운데 일부를 기부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은행들은 외환 위기 이후 부실채권정리기금으로 5천600억원을 출연했으며, 이에 대한 이익 배분금이 총 1조 6천억원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가운데 1조원은 지난 2007년 배분됐으며 나머지 금액 6천억 가운데 일부를 미소금융 재단에 지원하기로 했다는 것이다.
또 김 국장은 이 사업의 재원으로 6대 그룹이 1조원을 기부한 것과 관련해 "최근 미소금융재단과 출연약정(MOU)을 맺은 6대 그룹의 경우 정부가 문제를 제기했을 때 흔쾌히 참여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며 관치 금융, 금융 포퓰리즘이라는 지적에 대해 반박했다.
이날 김 국장은 낮은 금리의 대출지원으로 제 2금융권의 시장을 잠식할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 "미소금융재단은 신용등급 7등급 이하인 저신용자 800만명을 대상으로 하지만, 제도권 금융회사를 이용하기 어려운 신용등급 9~10등급자에게 우선적으로 소액 신용대출을 할 것"이라며 "제도 금융권을 잠식할 가능성은 낮다"고 설명했다.
논란이 됐던 미소금융재단 사무처장 연봉과 관련해서 김 국장은 "1억원이 넘는 것은 사실"이라며 미소금융재단 사무처장 연봉은 올해 1억260만원이다. 중앙재단의 경우 경험자가 필요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임금 수준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