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 상위 30개 고교에 재학 중인 학생 76%가 해당 학교 소재지가 아닌 다른 지역 출신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소속 민주노동당 권영길 의원이 19일 공개한 수능성적 자료를 분석한 '제4차 정책보고서'에 따르면, 수능성적 상위 30개 학교 가운데 28개 교는 전국 단위로 학생을 모집하는 외국어고, 과학고, 국제고 등이었고 나머지 2개 학교도 광역 단위로 학생을 선발하는 곳이었다.
특히 이들 학교 학생 중 학교 소재지의 시·군·구 출신 학생은 24%에 불과한 반면, 나머지 76%의 학생들은 타지역 출신 학생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권 의원은 "이들 학교의 성적이 좋은 중요한 이유는 종전 서울지역 외고 분석 결과에서도 나타났듯이 소득과 직업 수준이 좋은 계층의 자녀가 모였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권 의원은 지난 4월 서울시내 외고 입학생 학부모의 직업에서 상위직이 차지하는 비율이 일반고의 3.4배, 실업계고의 12배에 달한다는 분석 결과를 내놓은 바 있다.
또한 그는 평준화 지역 학교 간 학력 격차가 벌어지는 이유도 단순히 평준화제도 때문이 아니라 부의 격차에 따른 것이라고 지적했다.
수능성적(외국어 기준 1∼2등급 비율)이 232개 시군구 중 1위인 강남구의 경우, 부모의 학력수준 2위, 집값 2위, 학원수강률(서울) 1위, 무료 급식 대상자(낮은 순위) 6위, 기초생활수급자 비율(낮은 순위) 24위등으로 나타났다.
반면, 수능성적이 153위인 금천구는 부모 학력수준 106위, 집값 32위, 학원수강률(서울) 17위, 무료급식 대상자 92위, 기초생활수급자 비율 77위 였다.
권 의원은 "두 지역의 성적 격차를 설명할 수 있는 요인은 여러 가지로, 평준화정책 어디에도 학력을 평준화한다는 내용이 없는데 평준화 지역내 학력차를 정책 실패로 지적하는 것은 현실을 왜곡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