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친일인명사전' 발매 논란 될 듯

연구예산 전액 삭감 등 준비과정에서도 논란이 끊이질 않았던 '친일인명사전'이 편찬위 출범 후 8년여 만에 발간됐다.

민족문제연구소(연구소)와 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회(편찬위원회) 는 8일 오후 서울 용산구 효창공원 내 백범 김구선생 묘소 앞에서 '친일인명사전 발간 보고대회'를 가지고, 11월 말 정도 판매가 시작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사전엔 4천3백89명의 친일 행위자 이름이 수록돼 있고, 박정희 전 대통령이 충성 혈서를 쓰고 만주국 군관이 됐다는 이유로 포함됐고,  '시일야 방성대곡'을 쓴 언론인 장지연 선생도 친일성향의 글 이유로 수록되는 등 독립유공자 20명 이름도 올라있어 논란이 예상된다.

편찬위원회는 ‘을사조약’ 전후부터 1945년 8월15일 해방까지 일본 제국주의에 협력해 민족에 피해를 끼친 자를 '친일파'로 정의했다.

편찬위는 역사학자 등 150여명의 편찬위원들이 3000여종의 일제강점기 사료를 활용, 2만 5000여건의 친일혐의자 모집단을 추출한 뒤 수록 대상자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연구소 관계자는 "이미 2000부의 인쇄가 시작된 상황"이며 "600명에게 선주문을 받았고, 곧 서점에서도 구입이 가능하게 될 것"이라 밝혔다.

그러나 명단에는 박정희 대통령과 장지연 이외에도 장면 전 부통령, 작곡가 안익태, 시인 서정주 등 논란이 될 만한 각계 유명 인사들이 포함돼 있어,유족이나 친인척들의 명예훼손 소송 등이 잇따를 것으로도 예상된다.

편찬위는 이외에도 발표에서 보류된 384명에 대해 추가 조사를 벌이는 등 보완작업을 할 계획이라 밝혔다. 또한 국가보훈처는 언론인 장지연 등 독립유공자 20명이 포함된 것과 관련, "자료를 입수해 내용을 살펴본 뒤 신중하게 입장을 정리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도급에 있는 인사들이 준엄한 역사인식을 가지게 된다는 의미를 담아 출간됐다는 '친일인명사전'은 총 3권으로 이루어져 권당 10만원, 총 30만원이 책값으로 책정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