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서울시 지난해 부채 3조2454억…전년도 비해 75% 증가

서울시가 지난해 부채가 대폭 증가해 재정악화로 인해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19일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해 시 부채가 3조2454억원에 달해 전년도 2008년에 비해 1조8535억원 보다 75%(1조3919억) 증가했다. 이는 서울 시민 1인당 부채규모가 전년도 17만7000원에서 13만원 이상 늘어난 31만원으로 늘어났다.

서울시의 부채는 민선4기에 들어서면서 급격하게 증가하기 시작했다. 오세훈 시장이 처음 부임한 이후 지난 2006년 1조1462억원에서 2007년 1조5545억원, 2008년 1조8535억원으로 조금씩 증가세를 보였다. 이후 지난해에 급격하게 증가해 3조원을 넘어섰다.

이처럼 서울시의 부채가 늘어난 것은 한강 르네상스, 지하철 9호선 건설, 서울디자인 등 대규모 개발사업 추진과 경기불황까지 겹치면서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 경기불황을 극복하기 위해 정부의 확대재정정치에 보조를 맞춰 일자리 및 사회간접자본(SOC) 확충 예산이 늘어 부채 급증을 초래했다고 서울시 측이 설명했다.

서울시 부채 수준은 예산대비 13.6%로 행정안전부 재정건전성 기준을 따지면 최고수준의 건전성을 유지하고 있다고 서울시 측이 덧붙여서 전했다.  서울시는 지난해 말 기준 12.8%로 부채 급증으로 10%를 돌파했지만 행안부의 재정건전성 기준인 부채비율 30%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SH공사 등 서울시 산하 기관들의 부채를 포함하면 그 규모는 16조3000억원에 달한다. 이들 기관과 서울시 본청의 부채를 합하면 19조5000억원으로 서울시 1년 예산에 근접한 수치이다.

시 주택공급을 도맡은 SH공사의 경우 2008년까지 부채규모가 8조9000억원이었지만 지난해에는 10조원을 뛰어넘어 13조5000억원에 달해 최악의 경우 부동산 경기회복이 늦어져 미분양 아파트가 늘어날 경우 부채 부담이 더 가중될 수 있다.

시 관계자는 "지난해 발행한 경기부양지방채 1조1200억원을 재정건전성을 위해 올해 4450억원, 2012년 3640억, 2014년 3110억원으로 나눠 부채를 상환할 방침이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