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현대·기아차, 2015년 ‘수소연료전지차’ 양산

현대·기아자동차가 오는 2015년 초 쏘나타와 아반떼를 기반으로 한 수소연료전지차 1만대를 양산한다.

현대·기아차 관계자는 13일 “오는 2012년 말 양산형 수소연료전지차를 소량 생산한 뒤 2015년에는 쏘나타와 아반떼를 기반으로 한 수소 연료전지차 1만대를 양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수소연료전지차는 수소와 산소의 화학반응을 통해 발생한 전기를 활용해 모터를 구동하는 방식으로 물 이외에 배출가스를 전혀 발생시키지 않아 친환경 자동차로 각광받고 있다. 현재 현대·기아차는 현재 ‘전기차’와 ‘수소연료전지차’를 병행개발 하고 있다.

주행거리 200km 이하의 단거리용 소형차는 ‘전기차’로, 주행거리 500km 이상의 중·대형차는 ‘수소연료전지차’에 맞춰 친환경차량 개발 방향을 잡고 있다.

현대·기아차는 1년에 100대 가량의 수소연료전지차를 개발할 수 있는 생산라인을 갖추고 있다. 생산설비 반자동화도 이미 완료한 상태다.

이를 통해 현대·기아차는 오는 2012년까지 연간 2000대 가량의 수소연료전지차를 정부기관과 연구소 등에 보급한 뒤, 2015년에는 수소연료전지차 1만대를 양산할 계획이다.

오는 2015년 양산하는 수소연료전지차의 기반이 되는 차종은 ‘쏘나타’와 ‘아반떼’다.

수소연료전지차는 전기차와 달리 일반 가정에 별도의 충전시설을 마련할 수 없어 상용화까지 가는 데 더욱 많은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며 따라서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현대·기아차는 충전소 건립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현대·기아차는 연세대, 용인시 마북연구소, 화성시 남양연구소 등에 수소연료전지 충전소 9기를 운영하고 있다.

또 올해 2기의 충전소를 추가로 완공할 예정이며, 오는 2020년까지 전국에 충전소 100기를 완공한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현대·기아차 관계자는 “한국은 인구밀도가 높아 충전 인프라를 구축하기가 훨씬 유리한 조건”이라며 “차량이동이 밀집해 있는 국내에서는 충전소 건립 문제를 충분히 해결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이 관계자는 가솔린 대비 수소의 효율성에 대해 “현재 수소 가격은 가솔린 1ℓ 기준 60% 가량이지만 연료 효율성까지 계산하면 가솔린 가격의 30%에 불과하다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현대·기아차는 오는 2012년 기아차의 경CUV ‘UA(프로젝트명)’를 기반으로 한 고속 전기차 2000대를 양산할 계획이며, 2015년 전기차 전용모델을 개발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