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공공기관 입사 후 2~5년 동안 연봉 대폭 오른다

[재경일보 안진석 기자] 정부가 2009년부터 공공기관 신입직원의 초임을 평균 15% 깎으면서 발생한 기존 직원과의 임금격차를 줄이기 위해 공공기관 신입직원의 연봉이 입사 이후 2~5년 동안 대폭 오른다.

15일 기획재정부와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공공기관 기존직원의 임금 인상은 낮게 하되 2009년 이후 입사한 신입직원의 임금인상은 높게 하는 '하후상박(下厚上薄)' 방식으로 공공기관 예산집행지침이 개정된다.

정부는 애초 입사 2년차부터 3~5년에 걸쳐 기존직원과의 임금격차를 단계적으로 없애겠다고 밝혔으나 신입직원이 적은 기관을 고려해 2~5년으로 조정하기로 했다. 이 기간은 기관별로 단체협상 등을 통해 자율적으로 정하도록 했다.

이에 따라 2009년부터 초임이 평균 15% 줄었지만 입사 이후 2~5년 동안은 임금인상률에 추가로 3%포인트 이상 올려 늦어도 입사 6년차부터는 기존 직원과의 격차가 해소될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지난 2009년부터 공공기관 초임을 수준별로 차등 삭감해(▲2천만~2천500만원 10% ▲2천500만~3천만원 10~15% ▲3천만~3천500만원 15~20% ▲3천500만원 이상 20~30%) 평균 15% 낮춘 바 있다.

다만 정부는 추가로 재정을 지원하지 않고 해당 기관의 총인건비 범위에서 해결하는 원칙을 제시해 기존 직원의 임금 인상률의 감소가 불가피하다.

고용부 관계자는 "2009년 이후 입사한 직원이 전체의 10% 수준으로 이들의 임금을 7~8% 인상하고 기존 직원의 임금 인상률을 0.5%포인트 낮춘 3.6% 정도만 인상하면 올해 4.1%인 공공기관 임금인상 지침을 맞출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다음주 중으로 공공기관운영위원회 서면의결을 거쳐 예산집행지침을 개정해 7월 1일부터 소급 적용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