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내년부터 자가폴주유소 품질보증 지원 확대된다

[재경일보 안진석 기자] 올해 시범적으로 도입된 자가폴(무폴) 주유소 품질보증제도를 정부가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확대 시행하겠다고 밝혀, 소비자들의 자가폴 주유소 제품에 대한 신뢰가 높아질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가격은 싸지만 품질에 대한 신뢰가 낮아서 소비자들의 불안을 사고 있는 자가폴 주유소가 품질 신뢰를 바탕으로 전국적으로 확대된다면 기존 정유사와 주유소에 대한 압박으로 작용해 올 들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며 치솟고 있는 유가를 잡는데 긍정적인 요인이 될 것으로 보인다.

지식경제부는 10일 자가폴 주유소 육성을 위해 내년 자가폴(무폴) 주유소 품질보증제도 확대 시행 사업을 본격화해 품질보증 지원 대상을 300여 곳으로 늘리고 지원금액도 품질보증비용(600만원)의 80%에서 90%로 높이기로 했다고 10일 밝혔다.

이에 따라 주유소가 품질보증을 받기 위해 한 해 부담하는 비용이 120만원에서 60만원으로 줄어들게 됐다.

지경부 관계자는 "올들어 지금까지 이 보증을 받은 업체는 8곳에 불과하다"며 "내년에는 지원 대상과 금액을 늘리고 홍보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수단도 마련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정부는 자가폴 주유소에 대한 품질보증 지원을 확대·강화해 자가폴 주유소들의 품질 보증 프로그램 참여율을 획기적으로 높이고 자가폴 주유소에 대한 소비자의 부정적 인식도 전환시킨다는 계획이다.

정부가 기름값 인하를 위해 집중 육성하고 있는 자가폴 주유소는 여러 공급사의 석유제품 중 최저가 제품을 선택적으로 구매해 정유회사의 간판을 내건 일반 주유소보다 싼 가격에 판매할 수 있지만, 품질이 떨어지는 가짜 석유를 많이 판다는 소비자들의 불신이 높은 상태다.

현재 자가폴 주유소 수는 전국 주유소(1만3천45개)의 6.5%인 840여곳, 판매물량 비율은 5.7% 수준이며, 가격이 일반 주유소보다 ℓ당 41원 가량(5월 기준) 저렴하다.

지경부는 또한 현재 품질인증을 받은 주유소들이 석유관리원이 배부하는 정품 스티커를 부착하고 있지만, 스티커가 소비자들의 눈에 잘 띄지 않는다는 지적에 따라 자가폴 주유소 시설 개선 사업과 병행해 좀 더 효과 높은 홍보 수단을 마련할 예정이다.

지경부는 자가폴 주유소 품질 보증 지원과 함께 자가폴 주유소의 브랜드화 등 시설개선 사업을 위해 내년 77억 원의 예산을 확보했다.

자가폴(무폴) 주유소 품질보증제도는 특정 브랜드를 내걸지 않은 자가폴 주유소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한국석유관리원의 검사를 통과한 자가폴 주유소에 정품 보증 마크를 달아주는 것이다.

석유관리원은 신청 주유소를 대상으로 한 달에 한 번씩 석유제품 품질을 검사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