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국내 철강업계 활발한 기술개발로 특허출원 급증

국내 철강업체들의 특허출원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세계 철강업체들 간 조강(粗鋼)생산 점유율 차이가 매우 적은 가운데 기술과 원가 경쟁이 치열하게 진행되고 있어 향후 특허분쟁 가능성이 큰 분야에 국내 철강업체들이 기술개발을 집중한 때문으로 분석된다.

업체별로는 현대제철과 포스코 등의 특허출원이 활발했다.

최근 특허청에 따르면, 국내 철강업체들의 특허출원 건수는 2005년 1천39건에서 지난해에는 2천382건으로 130% 가량 증가율을 보였다. 최근 5년간 특허 출원이 연평균 20% 이상 증가한 것이다.

기술 분야별로는 철강가공기술 분야가 160%(326건→840건), 제철ㆍ제강기술 분야 150%(215건→534건), 주조기술 분야가 85%(236건→440건)의 증가율을 각각 보여, 철강 제조기술뿐 아니라 부가가치를 높이는 가공기술에도 출원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경쟁국들이 집중적으로 출원하는 합금기술 분야와 강판도금기술 분야에서도 국내 업체 특허출원 증가율이 각각 120%(209건→458건)와 110%(53건→110건)에 달했다.

출원인별로 보면 제철ㆍ제강기술 분야, 주조기술 분야, 철강가공기술 분야에서는 현대제철의 특허출원이 2005년에는 각각 1∼4건으로 적었으나, 지난해에는 일관제철소 가동에 힘입어 각각 179건, 145건, 232건으로 비약적으로 증가했다.

반면 합금기술 분야와 강판도금기술 분야에서는 포스코의 특허출원이 각각 70%(106건→177건)와 115%(34건→73건)로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양적 성장뿐 아니라 국내 철강업체는 세계최초 기술 및 독자기술을 확보, 이를 핵심 특허기술들로 보유해 질적 수준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핵심 특허기술은 제철ㆍ제강기술로는 '파이넥스(FINEX) 공법' 등 14건, 합금기술로는 '내후성이 우수한 고강도 열연강판' 등 20건, 주조기술로는 '연속주조 주편 제조방법' 등 3건, 철강가공기술로는 '저온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의 제조방법' 등 7건이 있다.

이 외에 강판도금기술로 '표면특성이 우수한 열간압연용 용융아연도금강판 제조방법'에 관한 독자기술도 보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