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김혜란 기자] 정부가 비동력·무탄소 교통수단 활성화를 위해 자전거의 수송분담률을 2016년까지 5%로 늘리고, 단거리 운행 승용차의 10%를 보행으로 전환시키기로 했다.
국토해양부는 보행·자전거 활성화를 뼈대로 한 '제1차 비동력·무탄소 교통수단 활성화 종합계획'을 수립해 내년부터 2016년까지 향후 5년간 추진한다고 28일 밝혔다.
이 계획은 교통 혼잡 완화, 에너지 절약, 온실가스 배출 감소를 위해 수립됐으며, 보행·자전거의 ▲기초 인프라 확충 ▲대중교통과의 연계체계 구축 ▲통근·통학 교통수단 활성화 ▲교육·문화 확산 ▲교통수단 발전기반 조성 등 5대 추진 전략을 담고 있다.
우선 기초 인프라 확충을 위해 보행·자전거 도로를 단계적으로 늘리고, 단절 구간을 연결해 보행이나 자전거를 통해 지역 생활권을 편리하게 오갈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작년 총연장 1만3천37㎞에 불과한 전국 자전거 도로를 2016년까지 약 두 배인 2만4천400㎞로 늘릴 예정이다.
또 전국 곳곳에서 시행하고 있는 보행우선구역, 대중교통전용지구 시범사업과 도시형 올레길, 차없는 거리조성 사업을 매년 확대하며, 보행자와 자전거 이용자의 안전확보와 자전거 도난 및 파손을 예방하기 위해 안전펜스, 신호등, 조명시설, CCTV 등도 대거 확충할 계획이다.
보행자와 자전거 이용자들이 대중교통으로 편리하게 환승할 수 있도록 지하철역, 버스정류장 주변에 자전거 주차시설을 늘리고, 열차내에 자전거 칸 운영을 운영하고 버스에는 자전거 거치대를 설치하는 방안도 검토된다.
자전거를 이용한 통근·통학을 활성화하기 위해 자전거-지하철 환승시 요금을 깎아주는 등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도 강구할 방침이다.
공공자전거도 지속적으로 늘리기 위해 공공기관과 기업체에 자전거 통근자를 위한 샤워시설, 주차시설 등 편의시설 설치를 적극 권장키로 했다.
이와 함께 각급 학교에서 실시하는 교통안전 교육에 보행·자전거 안전교육 프로그램을 추가하고, 정부와 민간이 합동으로 걷기대회, 자전거 대회 등 다양한 행사를 전개해 보행·자전거 문화를 확산시킨다는 계획이다.
이밖에 민간 기업의 자전거 핵심부품·소재 개발을 지원해 자전거의 성능 향상을 꾀하는 한편, 보행자나 자동차 이용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편의를 증진하기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에도 나선다.
국토부는 이런 계획이 순조롭게 진행되면 오는 2016년까지 2009년 기준으로 약 1.7%에 불과한 자전거 수송분담률이 5%까지 높아지고 15㎞ 이내 단거리 운행 승용차의 약 10%가 보행으로 전환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를 통해 연간 940억원 가량의 에너지 소비를 절감하고, 이산화탄소 배출도 35만t 감축할 수 있을 것으로 국토부는 예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