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김시내 기자] 저소득층 대학생 비율이 대학 소재지별로 큰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소득층 대학생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대구였고, 가장 낮은 곳은 서울이었다.
또 등록금이 상대적으로 비싼 사립대보다 국공립대의 저소득층 학생 비율이 훨씬 높았다.
기획재정부는 건강보험공단의 도움으로 국가장학금 신청자 103만5천명의 부모 소득을 분석한 결과, 43만4천명이 소득 수준 1~3분위 가정으로 파악됐다고 2일 밝혔다.
조사 결과 고소득층인 10분위는 14.2%로 전체 분위 중에서 가장 높았다.
또 소득 하위 30%인 저소득층 비율은 수도권(27.5%)보다 비(非)수도권(34.4%) 더 높았으며, 특히 대구가 저소득층 비율이 39.1%로 가장 높았다. 이어 부산(38.2%), 전북(37.3%), 광주(36.2%), 제주(35.6%) 순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서울(26.4%), 울산(27.9%), 경기(28.1%)는 저소득층 비율이 낮았다.
설립주체별로는 국립대 전체 재학생의 40.1%, 공립은 36.9%가 저소득층이었지만, 사립대는 29.9%에 그쳤다.
학제별로는 4년제 대학(32.2%)과 전문대(30.2%)의 저소득층 비율이 비슷했다. 4년제는 농어촌ㆍ저소득층 특별전형이 있어 전문대보다 저소득층 비율이 다소 높았다.
전체 소득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서 국가장학금은 원래 소득분위 7분위 이하를 대상으로 하지만 이번에는 전체 대학 재학생이 신청할 수 있도록 했다.
그 결과, 신청자는 105만9천명으로 전체 재학생 136만9천명의 77.3%였다. 이 가운데 가족관계증명서를 비롯한 서류를 제출한 103만5천명이 분석 대상이었다. 전국 대학생의 약 80%를 대상으로 소득 조사를 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었다.
신청자 가운데 소득 하위 30%에 해당하는 대학생은 전체의 31.7%였고, 중간 계층인 4~7분위는 전체 재학생 대비 3~5%대로 상대적으로 적었다. 4~7분위 학생은 국가장학금 수혜 대상이 아니어서 신청자가 적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대학생 가구의 소득분포를 파악할 수 있는 최초의 통계 지표로서 의미가 있다"며 "정부 재정으로 대학에 지원하는 사업에서 저소득층에 더욱 많은 혜택이 가도록 이 지표를 활용하는 방안을 교육과학기술부와 함께 찾아보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