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김상현 기자] 애플이 중국 내 두 번째 제휴 이동통신사로 차이나 텔레콤을 선정하고 지난주부터 애플 아이폰을 공급하기 시작한 가운데, 블룸버그는 애플이 세계 최대 스마트폰 시장으로 부상한 중국에서 삼성전자의 점유율을 따라 잡기에 너무 늦었다고 IT 전문 분석업체인 가트너의 분석을 인용해 12일 보도했다.
가트너 집계에 따르면, 애플은 중국 스마트폰 시장에서 7.5%의 점유율을 차지하며 5위에 그치고 있지만 삼성전자는 24.3%의 점유율로 1위를 유지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애플은 중국 2-3위 이통사인 차이나 텔레콤 및 차이나 유니콤과만 제휴하고 있지만 삼성전자는 모두 6억5천500만 명의 가입자를 확보하고 있는 1위인 차이나 모바일을 포함한 톱 3 모두와 손잡고 있다는 점을 가트너는 지적했다.
특히 차이나 모바일의 가입자 규모는 미국, 브라질 및 멕시코의 스마트폰 가입자 모두를 합친 것과 거의 비슷하다고 블룸버그는 설명했다.
반면 아이폰을 공급하고 있는 차이나 텔레콤과 차이나 유니콤은 가입자가 합쳐서 중국 전체 가입자 9억8천800만 명의 34%가량 수준이다.
애플은 차이나 모바일이 특유의 3G 표준인 TD-SCDMA를 사용하는 관계로 제휴하지 않아 왔다.
이와 관련, 차이나 모바일의 왕젠저우(王建宙) 회장은 앞서 "올해가 4G 표준인 TD-LTE 상용화의 원년이 될 것"이라면서 연말이나 돼야 아이폰과 제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