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조동일 기자] 8월 말 우리나라 외화보유액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유로화·파운드화 가치가 오른 탓이다.
한국은행이 5일 내놓은 '외화보유액 현황'에 따르면, 올해 8월 말 우리나라 외화보유액은 3168억8천만달러로 7월 말보다 25억3천만달러 증가, 지난 4월에 기록했던 3168억4천만달러의 역대 최대치를 넉 달 만에 다시 경신했다.
한은은 "8월 중 유로화와 파운드화가 달러 대비 2.0%, 0.5%씩 절상한 덕에 이들 통화 표시 자산의 달러 환산액이 늘었고 외화자산 운용 수익도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자산별로는 유가증권이 2913억3000만달러로 전월보다 49억5000만달러 증가한 반면 예치금은 161억9000만달러로 28억달러 줄어들었다.
국제통화기금(IMF)특별인출권은 3000만달러 증가한 34억9000만달러, IMF 포지션(IMF 회원국이 출자금 납부로 보유하는 교환성 통화를 수시로 찾을 수 있는 권리)은 3억5000만달러 늘어난 28억5000만달러였다.
금 보유액(29억8000만달러)는 변동이 없었다.
7월 말 기준 우리나라의 외화보유액은 세계 7위 수준을 유지했다.
중국이 3조2400억달러로 여전히 압도적인 1위를 달리고 있는 가운데 일본(1조2728억달러), 러시아(5105억달러), 스위스(4776억달러), 대만(3911억달러), 브라질(3762억달러) 등이 뒤를 이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