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김상현 기자] 구글이 국내 출시한 저가형 태블릿PC인 '넥서스7 16GB 모델'에 대해 가격을 인하하지 않겠다고 밝혀 가격 차별 논란이 일고 있다.
구글은 해외에서 32GB 모델을 출시한 후 먼저 출시된 16GB 모델의 가격을 낮춘 바 있지만 국내에서는 32GB 모델이 나왔음에도 불구하고 16GB모델에 대해 원래 가격을 그대로 받겠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넥서스7 16GB 모델을 해외에서는 21만원에 살 수 있지만 한국에서는 8만원 가량 비싼 29만원에 사야 한다.
최근에 내놓은 넥서스7 32GB모델도 국내에서 해외보다 10만원 가량이 더 비싸다.
이 같은 구글의 행태는 한국 소비자를 봉으로 삼은 것이나 마찬가지여서, 해외 시장과의 가격 차별에 대해 비판의 목소리가 커질 것으로 보인다.
특히 소비자들은 삼성전자와 LG전자 등 국내 제조사들이 해외보다 국내에서 단말기 가격을 더 받고 있는 가운데 구글마저도 똑같은 행태를 보이고 있어 분노를 감추지 못하고 있다.
구글 코리아 관계자는 21일 "넥서스7의 32GB 모델이 나왔지만 국내에서는 16GB 모델에 대한 가격 인하 계획이 없다"며 "16GB 제품이 국내 출시될 때 이미 적절한 가격으로 책정됐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환율, 통관세, 운송료 등을 포함하면 30만원이 안되는 가격은 이미 상당히 적정한 수준"이라며 "국내 출시 당시 가격이 적정한 만큼 추가 인하를 하지 않겠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넥서스7 16GB 모델은 해외에서는 지난 7월, 한국에서는 9월 각각 출시됐으며 가격은 해외에서 249달러(약 26만7000원)이, 한국은 29만9000원으로 가격 차가 크지는 않았었다.
그러나 구글이 지난달 해외에서 32GB 모델을 공개하면서 16GB 제품의 가격을 199달러(약 21만4000원)로 50달러 낮춰, 한국에서도 32GB 제품이 출시되면 16GB 모델의 가격이 인하될 것이라는 기대가 컸었다.
그러나 구글은 기대에 부풀었던 소비자들에게 제대로 찬물을 끼얹었다.
또 구글이 지난 20일부터 국내 마트에서 판매를 시작한 넥서스7 32GB 모델의 가격도 35만9000원으로, 해외 판매가인 249달러보다 무려 9만2000원 정도 높은 수준이어서 구글이 국내 소비자들을 차별하고 있다는 비판이 커질 수 밖에 없는 상황.
국내 태블릿PC 애호가들은 "국내 소비자들에 대한 차별"이라고 반발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