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서울 특성화고 지원예산 1/8 수준 대폭 축소… 누리과정 확대 탓

[재경일보 김시내 기자] 서울시교육청이 올해 특성화고 지원 예산을 지난해 8분의 1 수준으로 대폭 축소했다.

서울시교육청은 산업분야별 특성화고의 운영을 지원하기 위한 특성화고 체제개편 지원 예산을 지난해 39억 2560만 원에서 올해 5억2000만원으로 줄였다고 10일 밝혔다. 이에 따라 지난해 평균 1억 6000만원이던 학교당 지원금도 올해는 2000만원으로 크게 줄어들게 됐다.

지난해는 23개교, 올해는 26개교가 지원 대상이다.

시교육청은 지난 2000년부터 산업분야별 특성화고로 신규 지정된 학교에 3년간 연평균 1억6000∼2억원을 지원해왔다.

해당 학교는 산업분야별 특성화고 지정 후 1년의 준비기간을 거쳐 본격적인 운영을 시작하는 2~4년차에 특성화고 지정 초기에 특성화 산업분야와 관련된 기자재 구매, 교원연수, 교재 개발 등을 위해 체제 개편 예산을 지원받는다.

서울시교육청은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등을 육성해 '고졸시대'를 열자는 정부 정책 기조에 맞지 않지만, 누리과정 확대 등으로 예산사정이 어려워 특성화고 지원예산을 축소할 수 밖에 없었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산업분야별 특성화고로서의 기반을 다지는 초기 정착기에 필요한 예산이 대폭 줄어들자 일선 학교들은 비상에 걸렸다.

산업분야별 특성화고는 특정 산업분야에 소질과 적성을 보여 조기에 진로를 결정한 학생들을 해당 산업분야의 전문가로 성장해 나가도록 전문교육을 하는 학교로, 서울지역 특성화고 72개교 가운데 62개교가 교육청이 지원하는 산업분야별 특성화 고교다.

한 공업계열 특성화고 교감은 "예산이 많이 줄면 학교 운영이 어려워질 수 밖에 없다"라며 "최신 기자재 등을 갖추지 못하면 결국 피해를 보는 것은 학생들"이라고 토로했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누리과정 확대 등으로 올해 교육청 예산 사정이 어려워 특성화고 예산도 삭감됐다"라며 "추경을 통해 필요한 예산을 확보하도록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