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코오롱워터텍, '10억대 현금 살포' 문건 공개

ㄹㄹㄹ
2009~2011년 영업비 현금 집행내역

 

[재경일보 박성민 기자] 4대강 수질개선 사업에 참여한 코오롱워터텍이 업체 뿐 아닌 해당 공공 기관, 지자체, 공정거래위원회와 심의 의원 등에게 10억 원 대의 현금을 건넨 사실을 보여주는 문건이 공개됐다.

우원식 의원(민주통합당)은 총인 사업의 참여 업체 중 하나인 코오롱워터텍의 '영업비 현금 집행 내역'을 입수, 공개했다. 우 의원은 "환경부 소관 4대강 사업인 총인 사업의 전 방위 비리 실체가 드러났다"고 말했다.

우 의원이 입수한 '2009~2011 영업비 현금 집행내역' 등에 따르면 코오롱워터텍은 해당 총인 사업의 심의 위원들과 지자체 담당(하수 과장 및 주사) 및 조달청 계약 담당자 등에게 4대강 사업 추진 시기인 2009년도 부터 2011년도 까지 휴가비와 명절 떡값, 준공 대가로 총 10억312만 원 가량의 현금을 전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폐수처리업체인 코오롱워터텍은 이웅열 회장이 80% 가량 지분을 갖고 있다. 정부는 4대강 총인 처리 예산으로 5000억 원 이상을 투입했다. 이 가운데 코오롱워터텍은 300억 원 가량을 수주한 것으로 알려졌다. 총인(Total Phosphorus)은 물속에 포함된 인의 총량을 말하는 것으로 하천 등의 부영양화를 나타내는 지표로 쓰인다.

문건은 3가지다. '2009~2011 영업비 현금 집행 내역'은 시기별 현금 기집행 및 집행 내역과 심의 위원 및 지자체에 집행한 내역이 구분 돼 있다. '영업비 현금 집행계획-8월' 문건은 집행자와 거래선, 구체적인 액수와 사유 등이 명시 돼 있다.

또 '공사관리 업무 추진비 집행 계획' 문건은 휴가비와 준공 관련, 명절 떡값 등 3가지 항목으로 나뉘어 있다. 이 문건에는 환경공단 감독관, 지자체 하수 과장, 계장, 감리 등 돈을 받을 사람들의 직책이 적혀 있다.

심의 위원은 환경부 및 한국환경공단 등 내부 위원과 대학 교수 등으로 구성됐고 모두 공무원이 평가한 곳도 있다.

ㅏㅏㅏ
영업비 현금 집행계획-8월

 

집행 내역을 보면, 진주총인의 경우 심의 위원, 지자체 관계자 등에게 각각 1200만 원, 2억1350만 원 등 총 2억1550만 원을 현금으로 지급했다. 이는 공급가액의 6.7%에 이른다.

경산총인의 경우 심의 위원에게 1200만 원, 지자체 관계자에게 5000만 원 총 6200만 원을 전달했으며 공급가액의 4.2%에 이른다.

사업별로 현금 집행자와 거래선을 명시하고 있는데, 한국환경공단 감독관, 하수 과장, 계장, 감리 담당 등에게 휴가비, 명절 떡값, 준공 대가 등으로 수 차례 나뉘어 전달된 것으로 보인다.

휴가비는 2011년 8월 초 계약 담당자들에게 집중 로비됐고 준공 대가는 사업별 준공 시기에 따라 집행하는 것으로 표기 돼 있으며 명절 떡값은 2011년 9월 초 추석 이전 준공되는 현장 이외의 사업장의 지자체 및 환경공단 감독관에게 전달된 것으로 표기 돼 있다.

진주총인의 경우 000 지사장이 진주시 00 과장에게 지급한 것으로 기록 돼 있고 경산총인의 경우 집행자는 000 소장이며, 거래선은 경산시 00 과장 및 계장으로 기록 돼 있다.

춘천총인의 경우 심의 위원들에게 2500만 원, 지자체 담당자에게 4380만 원을 지급했는데, ㅅ주사에게 공법사 선정시 공헌한 명목으로 1000만 원, 낙착률이 93% 계약 담당자한테 3000만 원 등 지급 이유까지 명시하고 있다.

이뿐 아니라 조달청 계약 담당, 공정위, 환경부 등 관련 정부 기관에도 현금을 지급한 것으로 기록 돼 있어 파문이 예상된다.

2011년 8월 초 조달청 계약 담당에 최소 500만 원에서 최대 2500만 원까지 휴가비 명목으로 현금으로 전달됐는데 공정위 관계자에는 2010년 말, 2011년 7월 1100만 원, 1000만 원 두 차례 집행됐고 환경부 등 관계 기관에도 수 차례에 걸쳐 3300만 원이 건네졌다. 골프 접대도 2011년도 내내 이뤄졌다.

특히 이명박 대통령 후보의 한반도 대운하 특별위원장이자 부국포럼의 대표였던 박승환 이사장이 맡고 있는 한국환경공단은 임기 내내 비리가 끊이지 않고 있고 이번 사건에서도 환경공단의 계약 담당자들이 연루 돼 있다.

우원식 의원은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총인 사업의 담합 정황이 고발 돼 현재 감사원 감사가 진행중인데, 이번에는 해당 공공기관, 지자체 등에 대한 업체의 로비가 광범위하게 이뤄진 것으로 드러났다"며 "정부 차원의 진상 규명과 별도로 국회의 국정조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코오롱 측은 현재 사실 관계를 파악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