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브라질, 아르헨티나, 베네수엘라 채권 구매해도 괜찮을까?... 국가 신용등급 하향 조정 급증해.. 디폴트 위기 빠지기도

 

브라질의 반부패 시위
브라질의 반부패 시위

아르헨은 1년째 '기술적 디폴트'...해결 전망 불투명

브라질과 아르헨티나, 베네수엘라 등 중남미 국가들은 원자재 가격 폭락과 달러 강세 등으로 경제 위기가 가중되면서 국가 신용등급이 대부분 투자 적격과 부적격 평가 구간에 걸쳐 있다.

국제신용평가사 S&P는 국채시장에서 중남미 국가들의 달러화 표시 채권 회전율이 낮은데다 거래량도 부족하고 회사채 발행 규모도 급감하는 등 경제 구조가 매우 취약하다고 보고 있다.

국제금융센터의 황재철·한종석 연구원은 자본 조달시장의 위축도 역내 금융위기를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보고 있다.

역내 회사채 발행 규모는 2008년의 530억달러에서 지난해 1천321억달러로 꾸준히 증가해왔다.

그러나 올 1분기 브라질 페트로브라스의 부패 스캔들이 터진 뒤 크게 위축되기 시작해 투자 부적격 등급 채권의 차환 위험이 높아졌다.

브라질의 경우 지난해 이후 현재까지 회사채 신용등급의 하향 조정 건수가 급증하고 있다.

무디스 등 3대 신용평가사들의 중남미 평가 등급(3월말 기준)은 부정적 신용 전망(관찰대상 포함) 비율이 30%를 넘어선 반면 긍정적 전망은 5% 아래를 밑돌고 있어 추가 강등 소지도 있다.

전문가들은 이중에서도 역내 경제 규모가 가장 크고 올해 마이너스 성장이 예상되는 브라질의 금융 변동성에 특히 주목하고 있다.

브라질은 올 4월 실업률이 6.4%로 전년 동기(4.9%)에 비해 큰 폭으로 증가했고 6월 물가 상승률은 목표치(4.5%±1.5%p)를 크게 벗어난 8.9%를 기록했다.

 S&P는 은행권 대출이 위축되고 차환 리스크도 늘고 있다고 보고 있다. 이렇다 보니 국가 신용등급은 주요 신흥국 중 최하위 수준이다.

무디스와 피치가 부여한 Daa2와 BBB 등급은 투자 적격의 최종 단계로 언제라도 부적격 단계로 넘어갈 수 있는 단계다.

S&P는 아예 투자 부적격 등급(BBB-)을 매긴 지 오래다.

아르헨티나는 지난달 30일로 '기술적 디폴트'(채무 불이행)에 빠진 지 1년이 됐지만 여전히 디폴트 해결 전망은 불투명한 상태다.

작년 말 소비자 물가(CPI)는 24%를 기록하는 등 스태그플레이션도 심각한 상황이다.

무디스는 10월 대선 후 경제정책 변화가 예상되나 경기 개선이 쉽지 않다고 내다보면서 Caa1(투자부적격·디폴트 5등급)를 부여했다.

S&P와 피치는 각각 SD(선택적 디폴트) 등급을 줬다.

베네수엘라는 작년 4분기 유가 급락으로 경상 적자가 심각한 상황이다.

특히 작년 말 연간 대비 세계 최고의 인플레이션 상승율(68.5%)을 기록한 후 Caa3(무디스), CCC(S&P), CCC(피치) 등 3대 평가사 모두로부터 투자 부적격 판정을 받은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