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T는 재난안전통신망 기술 발표 기자간담회를 25일 강원도 원주시에 위치한 KT원주연수원에서 가졌다.
◆스카이십 플랫폼, 재난 안전 분야에 특화

KT는 재난 안전 분야에 특화된 스카이십 플랫폼을 공개했다. 스카이십(Skyship) ▲스카이십 C3 스테이션(Skyship Command,Control&Communication Station)을 중심으로 세부 임무 수행을 위한 ▲스카이십 드론(Skyship drone), ▲스카이십 로봇(Skyship robot)으로 구성된다. 국내 협력업체인 ㈜메티스메이크와 공동으로 개발했다. 비행선과 드론의 장점을 결합한 무인 비행선 드론이다. 작년 선보인 스카이십에 재난안전 특화 ICT 기술을 결합해 재난 상황 특화 솔루션으로 진화됐다. KT는 작년 스카이십 시연에 성공했다. 8시간 비행이 가능하고 비행 반경은 최대 25km이다.

스카이십은 헬륨 가스를 채운 비행체와 스카이십의 추진체·임무수행장비를 탑재하는 스카이십 팟(Skyship pod), 휴대폰 신호 기반의 조난자 탐색 솔루션 스카이스캔(skyscan)으로 구성된다.
스카이십 팟은 프로펠러 추진체, 통신모듈, 고해상도·열화상 카메라, 임무 수행 드론을 탑재하는 트렁크를 포함한다. 스카이십 팟은 부착되는 통신모듈과 카메라 등의 하드웨어 요구사항을 규격화해 특정 제조사에 구애 받지 않고 다양한 3rd Party 모듈을 탑재 가능토록 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관련 산업 생태계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KT는 기대하고 있다.
스카이스캔은 LTE/5G 통신 모듈을 수용할 수 있는 휴대폰 신호 기반의 조난자 탐색 솔루션으로, 재난 지역에서 탐색 임무를 수행한다. 스카이스캔은 초소형 LTE 장비를 통해 실시간으로 휴대폰 시그널링 메시지를 검출할 수 있다. 이 기술은 반경 50m 이내의 조난자 유무를 파악해 수색 범위를 좁힐 수 있으므로, 초반 구조 작업을 신속하게 추진할 수 있다. 이 기술은 KT가 특허를 가지고 있고 신호로 탐색하게 된다. 조난자의 휴대폰 신호를 통신사 데이터와 연동하면 이름, 나이 등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향후 재난안전통신망과 주민·의료기록 데이터 연동이 가능해지면 혈액형·병력 등의 정보를 의료기관에 전달해 신속하고 정확한 응급 조치가 가능해질 것이라고 전했다.

스카이스캔을 통해 조난자 탐색 반경이 좁혀지면 스카이십 팟에 탑재된 스카이십 드론이 출동해 조난자의 상세 위치를 파악한다. 지상은 스카이십 로봇이 구조대원이 도착하기 전 비상구호물품을 조난자에게 전달하고 탑재된 카메라와 통신기능을 통해 구조센터에 현장 중계 및 응급 조치를 할 수 있다.
스카이십 로봇의 최고 속도는 10km/h이며 운행시간은 최대 3시간이다. 적재용량은 6kg(물, 의약품, 방독면 등)이다. 오염·산사태·붕괴 위험 지역에 활용된다.
KT는 스카이십의 원격관제·조종·통신이 가능한 스카이십 C3 스테이션을 공개했다. 스카이십 C3 스테이션은 스카이십과의 실시간 통신을 통해 신속히 현장을 지원하고 각 장비들을 보관할 수 있는 이동형 통제 센터이다. 내부는 9개의 모니터가 설치된 관제실을 통해 통신/기체 상태 확인, 촬영 영상 모니터링 등을 수행한다.
또한 KT는 최대저항풍속, 적재량 등 성능이 진화된 스카이십2를 개발을 완료하고, 스카이십 플랫폼에 적용했다. 스카이십2는 공기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한 NACA(미항공자문위원회) 에어 포일(Air Foil) 형상으로 설계했다. 미항공자문위원회 검증한 최적의 비행체 형상으로 항공역학적 양력과 항력이 계산된 강풍 저항력과 측풍에 강한 최적화된 형상이라는 설명이다. 최대 풍속 13m/s의 바람에도 안정적인 비행이 가능하며, 최대속도 80km/h, 최대 6시간 비행, 5kg 용량까지 적재할 수 있다고 한다.
◆ 재난상황서 환자 원격 진료.."의료 현장서 임팩트 있을 것"
이 날 아주대학교의료원 경기남부권역외상센터, 원주 소방서 119구조대와 함께 스카이십 플랫폼과 AR 글라스를 적용해 재난상황에서 환자를 원격으로 진료하는 시연을 선보였다. AR 글라스는 KT 통신망을 기반해 영상통화 기술과 AR(증강현실) 기술을 적용한 웨어러블 기기로, 원격으로 영상/이미지/음성/텍스트 등 시각정보를 전달하고 실시간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시연은 스카이십 플랫폼이 탐색한 조난 현장에 출동한 119 구급대원이 AR 글라스를 착용하고 글라스를 통해 촬영된 현장상황과 조난자 상태가 KT 통신망을 통해 아주대학교의료원 경기남부권역외상센터로 중계됐다. 이후 아주대 이국종 교수는 중계된 영상을 보면서 조난자의 상태를 확인함과 동시에 조난자 및 구급대원과 의사소통하면서 원격진료를 하는 모습을 시연했다. 이 교수는 시연 이후 "원활하게 잘 이뤄졌다"며 "의료현장에서 굉장히 임팩트를 낼거라고 생각된다"고 말했다.
재난 상황 대응에서 핵심요소는 통신이다. 지진과 선박 침몰, 수해, 산사태와 같은 재난 상황 시 통신망은 중요하다. 재난 시 통신 장애는 구조 및 복구를 지연시킨다. 잘 갖춰진 통신망을 기반으로 육·해상의 입체적 재난 대응이 가능하며 신속한 상황전파로 긴급 구조 상황에 골든 타임을 확보할 수 있다.
KT는 재난안전통신망의 요구사항인 안정적인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별화된 네트워크 인프라와 운용역량을 갖추고 있다고 했다. KT가 전국에 보유한 68만km의 광케이블 중 약 80%의 구간이 지중화 돼 있다. 가공 케이블은 재난/재해에 취약하다. 2016년 구미 섬유공장 탱크 폭발, 2017년 포항 지진에서도 알 수 있다. 일본 NTT의 재난대응 3대 원칙은 광케이블 지중화, 국내 내진 설계, 일상화된 긴급 복구 체계가 있다. 지중화는 시설물 폭발, 화재 등의 재난 상황에도 통신 시설 피해로 인한 장애를 최소화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KT는 도서지역 마이크로웨이브 통신망과 위성 통신망을 갖춰 유사시에도 백업망을 이용한 통신이 가능하다고 전했다. 아울러 KT가 전국에 보유한 통신전용국사(3849개)는 규모 6.5의 강진에도 견딜 수 있도록 내진 설계 돼 지진의 위협에도 대비하고 있다.
◆내년 상용화 앞둔 5G..주요 서비스 중 하나인 드론
내년 5G 상용화를 앞두고 있다. 5G 주파수 경매가 지난 18일 마무리 됐다. 국내 이동통신 3사는 차세대 서비스에 대한 승부를 벌이게 됐다. 5G 시장 주도권, 또 사업모델 경쟁이 있는 상황이다. KT는 5G 필수시설이 잘 갖춰져 있다. 내년 3월 5G 상용 서비스가 개시될 예정이고 6월 이후 5G 단말기가 출시된다.
5G 시대의 주요 서비스 중 하나로 드론이 주목 받고 있다고 한다. 스카이십 플랫폼은 드론을 비롯한 다양한 5G 서비스들이 접목 돼 5G 기반의 재난안전 플랫폼을 제시하고 있다고 KT는 전했다. KT는 30분 비행이 가능하고 비행 반경은 5km이라고 설명했다.
KT는 5G 기반의 스카이십 플랫폼과 119구조대와 원격 의료센터를 5G로 연결하면 5G의 기술 특성인 초연결·초저지연을 기반으로 한 긴급 임무 수행이 가능하다고 전했다. 스카이십과 드론, 로봇 등 각종 임무 수행장비에서 촬영한 초대용량의 UHD 4K 영상을 5G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해 상세한 현장상황 파악할 수 있으며, 초저지연의 실시간 원격제어 외에도 다양한 응용서비스가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KT는 지난 수년 간 국민의 안전을 위해 선보여 온 재난안전 관련 기술 역량과 이번에 공개한 스카이십 플랫폼, 그리고 이번 주파수 경매를 통해 확보한 3.5GHz대역의 100MHz 주파수와 28GHz대역의 800MHz 주파수를 기반으로 국내 최대의 초광대역 5G 상용망을 구축해 2020년까지 더 빠르고 안전한 5G 네트워크 기반의 재난안전 플랫폼을 완성한다는 계획이다.

KT 네트워크부문장 오성목 사장은 "KT는 수년 간 지속적인 기술 개발을 통해 재난 안전 분야의 기술을 선도해왔다"며 "KT의 차별화된 ICT 기술력과 축적된 노하우를 바탕으로 안전한 대한민국의 미래를 만드는데 앞장 설 것"이라고 말했다.
오 사장은 "현재는 시범 사업만 하고 있다. 공익적 측면에서 사업을 하고 있지만 KT가 보는건 5G가 상용화되면 현재보다 더 적합한 기술"이라며 "B2C보다는 B2B에서 많은 영역에서 활용될 것이다. 큰 공장 등에서 문의가 많은 것으로 알고 있다. 조만간 사업적 측면에서의 발표 기회가 있을 것"이라고 했다. 이어 "향후 로드맵은 확실히 정해지 있지는 않다. 구체적으로 몇대를 하는 것과 같은 것은 시간이 지나봐야 알거 같다"며 "가격은 대당 20억이지만 이보다는 한참 낮출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5G 통신이 적용되면 풍속저항 능력 및 적재용량 향상으로 임무 수행 영역이 확장 가능하다고 했다.
2020년, 스카이십 3은 최대속도가 100km/h, 비행시간은 12시간, 비행가능 풍속은 최대 15m/s, 탐지방식은 UHD(8K)/IR/AI, 적재용량은 50kg(drone 8식, robot 4식)이라고 한다.
오픈 플랫폼을 통해 중소기업 참여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한다.
한편 KT는 2015년 재난안전통신망 시범사업 제1사업자로 선정된 이후, 2016년 LTE-M(초고속해상통신망), LTE-R(철도통합무선망) 사업 수주, 2018년 재난안전통신망 유지관리 사업 수주 등 국가 주요 사업을 함께하며 국민 안전을 위해 노력해왔다고 했다.
2015년 산악지형에 특화된 백팩과 초경량 드론 형태의 LTE 이동형 기지국, 2016년 초수평안테나배열시스템(OTHAD)를 적용한 초광역 해상 커버리지 확보, 위성 LTE와 IoT 세이프티 쟈켓을 차례로 선보여왔다. 작년에는 스카이십과 마린내비를 적용한 해상 안전 솔루션을 선보였다.
원주=재경일보 박성민 기자
smpark@jk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