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최대 자동차 제조업체 제너럴모터스(GM)가 구조조정 계획을 발표한 여파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수입차 고율 관세 카드를 꺼내 들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28일(현지시간) 자신의 트위터에 과거 유럽이 미국산 닭에 관세를 부과한 데 대응으로 미국이 수입 소형트럭에 부과했던 25% 관세인 '치킨세'를 거론하며 "GM 사건 때문에 이것이 다시 검토되고 있다"고 썼다.
그는 치킨세를 수입차에 적용하면 더 많은 차가 미국에서 만들어져 GM이 미국 공장을 닫지 않아도 될 것이라며 "우리에게 자동차를 보내는 나라들은 수십 년간 미국을 이용해 왔다. 대통령은 이 문제에 대해 막강한 권한을 갖고 있다"라고도 말했다.
GM은 지난 26일 북미 5개, 해외 2개 등 자동차 생산공장 7곳 가동을 중단하고 북미 인력 1만4천명을 감축하는 구조조정 계획을 발표했다.
이후 이틀 만에 GM의 발표가 수입차 고율 관세 검토를 촉발했다고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언급한 것이어서 미국에 자동차·부품을 수출하는 세계 주요 자동차 생산국과 업체들의 우려가 더욱 커질 전망이다.
미 상무부는 이달 중순 수입차 관세 부과에 대한 보고서 초안을 백악관에 제출했으며 이를 보완하는 중이었다.
상무부가 공식 보고서를 제출해야 하는 시점은 내년 2월까지이며 보고서가 발표되면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부과 여부를 결정한다.
워싱턴에 있는 외교관들과 업계 관계자들은 상무부 조사가 거의 마무리 단계에 있으며 이르면 몇 주 안에 발표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는 전했다.
외국뿐 아니라 미국 제조업계도 긴장 상태다. 자동차·부품 관세인상은 미국 내 제조업의 비용 가중, 수익성 악화 등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블룸버그는 수입차 25% 관세 부과가 미국 내 자동차 증산을 뜻할 수는 있지만, 자동차 공장 신설에는 오랜 시간이 걸리고 기존 공장 인수에는 비용이 많이 들며 미국 내 제조가 판매 성공을 담보하지도 못한다고 지적했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은 GM에 대한 보조금 삭감을 검토하도록 관계 부처에 지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GM의 구조조정 발표 이튿날인 27일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트위터에 "미국은 GM을 살렸는데, 우리가 받은 '보답'은 바로 이것"이라고 성토하며 "전기차 프로그램을 포함한 GM의 보조금 전액을 삭감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전문가들은 GM 매출액이 올해 추정치로 1천442억달러(약 162조원)에 달하는 만큼 GM에 대한 정부 보조금 삭감이 실질적인 압박이 되지 않을 것으로 분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