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의 1분기 실적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장기화 속에서도 선전해 역대 1분기 실적 중 가장 최대치를 기록했다.
카카오는 7일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매출 8천684억원, 영업이익 882억원을 기록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지난해 동기 기간보다 매출은 23%, 영업익은 219% 증가하며 모두 분기 기준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영업이익률도 10.2%로 두 자릿수를 기록했다.
부문별 매출은 ▲ 톡비즈(2천247억원·전년 동기 대비 77%↑) ▲ 포털비즈(1천166억·8%↓) ▲ 신사업(1천5억원·68%↑) ▲ 게임 콘텐츠(968억원·3%↑) ▲ 뮤직 콘텐츠(1천507억원·10%↑) ▲ 유료 콘텐츠(970억원·30%↑) ▲ IP비즈니스 기타(819억원·6%↓) 등이다.
포털 비즈니스와 IP비즈니스는 감소세를 보였지만 주력 부문인 카카오톡 사업(톡비즈)에서 광고와 쇼핑이 모두 선전하며 큰 성장세가 돋보인 것이다.
주력사업인 톡비즈 부문에서 카카오톡 내 광고와 쇼핑이 모두 선전했고 간편결제·모빌리티의 신사업 부문은 카카오페이의 1분기 거래액(14조3천억원)이 지난해보다 39% 늘어난 것을 비롯 새로 개시한 증권 계좌로 업그레이드한 이용자가 100만명육박한 가입열풍의 힘을 받았다.
신규 사업 부문의 영업손실은 223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206억원, 전년 동기 대비 299억원 감소하면서 수익성 개선에 기여했다.
콘텐츠 부문에서는 매년 두 배 이상 매출이 성장하고 최근 2분기 연속 흑자를 기록하는 일본 웹툰 서비스 '픽코마'의 선전이 눈에 띄었다.
다만 IP 비즈니스 기타 매출은 코로나19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6% 감소하였고 포털비즈 매출은 계절적 비수기와 코로나19로 인한 대형 브랜드 광고주의 광고 집행 수요 감소로 전년 동기 대비로는 8% 감소했다.
1분기 영업 비용은 전 분기 대비 2% 증가, 전년 동기 대비로는 15% 늘어난 7천802억원이다.

배재현 수석부사장은 "효율적인 비용 통제 노력으로 인한 마케팅 비용의 감소뿐 아니라 유연하고 다각화된 사업 구조와 지난해부터 가속화된 성공적인 신사업 수익화 노력의 결실"이라고 밝혔다.
카카오는 코로나19 이후 시대를 대비해 올해 하반기 출시하는 기업용 종합업무플랫폼 '카카오워크' 등 기업간거래(B2B) 사업과 카톡과 유기적으로 결합한 온라인 쇼핑 등 부문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여민수 카카오 공동대표는 "팬데믹(전염병 대유행) 이후 우리 생활 방식의 디지털 전환은 보다 가속화될 것"이라며 "카카오는 이런 디지털 전환의 중심에서 다양한 파트너들의 수요에 부합할 수 있는 상품 포트폴리오와 전환 기술을 최적화하고, 마케팅 활동을 적극 지원하며 카카오만의 플랫폼 경쟁력을 더욱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