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제품에 대한 좋은 느낌은 그냥 생기지 않는다. 그만큼 공을 들이고 애정을 쏟았기 때문에 그만한 평가를 듣게 되는 것이다. 이전과는 다르게 볼보 차를 타면 세련 돼 보인다. 분위기가 급변했다. 한국서 볼보 차에 대한 인식이 많이 좋아졌다. 부분변경된 볼보 플래그십(최고급) 세단인 'S90'가 국내 출시됐다. 손흥민 선수가 신형 S90 캠페인 모델을 맡았다는 것도 관심을 끌고 있다.
신형 S90는 롱휠베이스를 기본으로 적용했다. 뒷좌석 공간감이 좋다. 사장급이 타는 고급 대형 세단이 지니고 있는 편의 장비들까지 구비 돼 있는 것은 아니나, 2열 공간 자체는 이 차급과 유사하다. 메르세데스-벤츠 'E클래스'나 BMW '5시리즈' 등 경쟁 수입차들의 뒷좌석 공간보다 넓다.
부분변경 차량이라 많은 변화가 있지는 않다. 외관을 봐서는 알기 어렵다. 시퀀셜 턴 시그널이 적용됐고 라디에이터 그릴에는 새로운 크롬 디테일이 반영됐다. 후면에는 트렁크 일체형 스포일러, 히든 테일 파이프, 시퀀셜 턴 시그널이 포함된 Full-LED 테일램프가 새롭게 추가됐다.
S90의 전장은 동급 최고라는 게 제조사의 설명이다. 5미터가 넘는다(5090mm). 휠베이스는 이전 모델 대비 120mm 늘어난 3060mm이다. 볼보 측은 자동차 업계에서 차량 크기가 기존 모델 보다 125mm 늘어난다는 건 어마어마한 변화라고 했다. 흔히 얘기하는 롱휠베이스 모델 정도의 크기라고 설명했다. 2열 탑승을 해 보면, 공간감에 대해 설명하기가 무색할 정도로 매우 편안한 뒷좌석을 제공해주고 있다. 다만, 가운데 자리는 센터터널로 인해 발 공간이 제대로 마련 돼 있지가 않다. 2열 시트가 폴딩이 되지 않는다는 점은 '패밀리 세단'을 언급할 때 크게 점수를 깍아먹는 부분이 된다. 요즘은 세단이던지, SUV(스포츠유틸리티차량) 차량 또한 시트 폴딩이 되기 때문에 이해가 되지 않는 구성이다. 트렁크 공간은 넓은 편이나, 골프백이 제대로 실리지 않는 사이즈를 가지고 있다.

실내는 스칸디나비아 인테리어 디자인에서 단서를 얻었으며 자연 소재와 장인 정신, 현대적인 기술이 결합된 형태로 만들어졌다. 대쉬보드에서는 천연 나뭇결이 살아있는 인테리어 공간을 만날 수 있다. 시트는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됐으며 전체적으로 딱딱한 편에 속하나 고급스런 소재감을 전해받을 수 있다. 넓은 시트 구성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인스크립션' 모델에는 앞 좌석 전동식 사이드 서포트 및 마사지, 통풍 기능이 추가된다. 지난 10일 서울 마리나에서 진행된 미디어 시승 행사에서 통풍 기능을 써보니, 소리만 요란했지 시원함을 느낄 수 없었다. 이날 시승은 서울 마리나를 출발, 인천 네스트 호텔을 갔다가 다시 출발지로 되돌아 오는 코스였다. 반자율주행 테스트를 하기에 매우 좋은 코스이다.

대쉬보드는 높은 편이며 넓직하다. 안정감을 준다. 윈드쉴드는 옆으로 넓직한 편이다. 센터 디스플레이는 좀 낮은감이 있으며 오레포스의 크리스탈 기어노브가 인스크립션 모델에 확대 적용됐다. 뒷좌석 암레스트에는 '력셔리'라는 말이 붙었으며 2열 측면에는 윈도우 선 블라인드, 후면 창에는 리어 선 커튼을 갖추고 있다. 모두 전동식이다.
반자율주행과 관련해 기자는 볼보 '파일럿 어시스트2'가 가장 앞서있다고 생각하고 있다. 조작성이 편하며 기술적 능력도 상위권이다. 해당 기능 사용 시, 불안과 긴장이 잘 생기지 않는다. 스티어링 휠 미소지 시, '조향하십시오', '취소됨 조향하세요' 메시지 까지 등장 이후, 차선 유지는 해제시키지 않은채 차량 속도를 줄이는 작동 방식이 훌륭하다. 차간거리 조절은 5단계로 구성 돼 있다. '차일드 락' 버튼을 눌러 실행 시, 큰 소리로 들려지는데 이 또한 안전과 관련해 의도한 세팅이라고 생각됐다.
주행 모드(에코, 컴포트, 다이내믹, 개인)별 차이는 확연하며 특히 '고성능' 모드에서는 엔진음이 달라진다. 마치 포유류가 '으르렁' 거리듯 엔진음이 길게 이어진다. 레드존 테스트 시, "왕" 하는 의외의 소리가 들려오고 나름의 박진감을 느낄 수 있다. 그러나, 이 차는 '패밀리 세단'이다. 고속 주행을 주로 하는 성격의 차가 아니다. 조용히, 편안히 타는 차량이다. 이 때문인지 고성능 모드에서도 브레이킹 감성 차이가 있지 않았다. 어떤 주행 모드에서도 차분한 제동 느낌을 주고 있다. 운전석에서 주행을 해보니, 긴 차체를 가진 차량이라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시승 차는 볼보의 새 표준 파워트레인인 'B5 엔진'이 들어간 차량이었으며, 이 외에 트윈 엔진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T8 엔진'이 출시됐다. 여기에 8단 자동 변속기가 조합됐다. 48V 가솔린 마일드 하이브리드(MHEV) B5 엔진의 최고 출력은 250마력(5700rpm), 최대토크는 35.7kg∙m(1800-4800rpm)이다. 전기모터는 약 14마력의 추가 출력을 지원한다. 높은 수치는 아니다. 출발 가속과 재시동 시 엔진 출력을 보조한다. 이날 대부분 파일럿 어시스트 2를 사용했고 정속 주행을 하니, 평균 연료 소모량이 12.2km/l가 기록됐다. 피렐리 '피제로' 타이어(255/40 R19)가 장착 돼 있었다.
시승 차였던 'B5 인스크립션'의 국내 판매가는 6690만원, '모멘텀'은 6030만원이다. 'T8 AWD 인스크립션'은 8540만원이다. 볼보 차는 고상한 느낌의 프리미엄이 뭔지 보여주고 있다. 프리미엄 수입 차를 타보면, 거만함이 전해지는 때가 많은데, 볼보 차는 이와는 좀 다르다. 허례허식이 담겨 있지 않고 제조사의 가치와 감성을 제공하는 것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시승 차 트림인 B5 인스크립션의 6030만원이란 가격은 S90의 가치를 봤을 때 큰 금액은 아닌 것으로 다가온다. 볼보는 이번 S90를 통해 국내 수입차 시장의 격전지인 프리미엄 E세그먼트 세단 시장에서 확고한 우위를 점할 것이라는 목표에 대해 행사에서 언급했다. 메르세데스-벤츠 'E클래스'나 BMW '5시리즈'와 겨루겠다는 뜻이다. 국내 제조사에서는 제네시스 'G80', 현대자동차 '그랜저' 등이 경쟁 차가 될 것이다. G80의 출시가는 5291-6214만원, '그랜저 2.5 가솔린'은 3294-4108만원이다. 볼보는 한국에서 지난 7월까지 중국에 이은 세계 2위 시장에 자리했다. 물론 이는 '코로나19' 상황으로 인한 변화가 현실화된 영향이 있긴하다. 볼보는 한국서의 판매량에 더 큰 기대를 걸고 있는듯 보인다. 신형 S90에 대해서도 이 같은 포부를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