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토허제 확대 후 서울 주간 아파트값 상승폭 0.11%로 둔화

서울 아파트값 상승폭이 절반 이하로 꺽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부동산원이 27일 발표한 '3월 넷째주(24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조사'에 따르면 이번 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지수는 전주 대비 0.11% 상승했다.

상승세는 계속됐으나 전주(0.25%)와 비교하면 상승폭은 절반 이하로 둔화됐다.

한국부동산원
[한국부동산원 제공]

토허제로 새롭게 묶인 강남 3구와 용산구의 가격 상승폭이 축소되며 서울 전체 상승률도 둔화한 것으로 분석된다.

토허제 대상 지역이 구 전체로 확대된 강남구(0.36%)는 개포‧압구정동 주요단지 위주로, 서초구(0.28%)는 잠원‧반포동 재건축 추진 단지 위주로 상승했다.

다만 송파구는 0.03% 내리며 작년 2월 둘째주 이후 1년1개월여만에 하락 전환했다.

용산구도 0.18% 올랐지만 전주(0.34%)에 비하면 상승폭이 반토막났다.

마포(3월 셋째주 0.29%→넷째주 0.21%), 성동(0.37%→0.35%), 동작(0.20%→0.17%), 광진(0.25%→0.15%) 등 주변 지역도 줄줄이 상승폭이 줄었다.

부동산원은 "재건축 등 일부 선호단지는 지속적인 수요 집중으로 상승거래가 체결되고 있으나, 국지적인 급매 수요 및 관망심리 확대로 지난주 대비 상승폭이 축소됐다"라고 설명했다.

경기는 지난주에 이어 이번주도 보합(0.00%)을 보였으며 인천은 0.07% 내리며 하락폭을 확대했다.

최근 급등세를 보인 과천(0.55%)도 가격 상승폭이 3월 둘째주(0.71%)를 정점으로 하향세를 이어갔다.

한국부동산원
[한국부동산원 제공]

이에 따라 수도권 전체 가격 상승폭도 전주보다 0.04%p 줄어든 0.03%로 집계됐다.

지방은 0.04% 하락하며 전주와 같은 낙폭을 나타냈다.

5대 광역시(-0.05%→-0.06%)와 8개도(-0.02%→0.03% ) 모두 낙폭이 확대됐다.

아파트
[연합뉴스 제공]

전국의 아파트 전세가격은 0.02% 오르며 전주(0.01%)보다 상승폭을 소폭 키웠다.

서울(0.07%→0.06%)은 상승폭이 줄었다.

수도권은 0.04%로 전주와 같은 보합을 유지했다.

지방(-0.02%→-0.01%)은 낙폭이 줄었다. 수도권(0.04%)은 전주의 상승폭을 유지했다.

시도별로는 울산(0.07%), 경기(0.04%), 부산(0.03%), 전남(0.02%) 등은 상승했다.

이어 인천(0.00%), 광주(0.00%)는 보합을 유지했으며 제주(-0.06%), 대전(-0.06%), 대구(-0.06%), 경북(-0.03%) 등은 하락했다.

부동산원은 서울 아파트 전세가격에 대해 "역세권 및 대단지 등 선호단지 중심으로 상승계약 체결 지속되고 있으나, 일부 입주 영향있는 지역 및 구축 단지에서 전세가격이 하락하며, 서울 전체 상승폭 소폭 축소됐다"라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