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서울 아파트값 10주째 상승…토허제 재지정에 상승폭 축소

정부와 서울시의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제) 확대 재지정에도 서울의 아파트값 상승세가 이어졌다.

한국부동산원이 10일 발표한 '4월 첫째주(7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의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08% 오르며 10주째 상승세를 이어갔다.

토허제 확대 재지정 영향으로 전주(0.11% 상승)보다는 상승폭이 축소됐다.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0.02% 하락하며 지난주(-0.01%) 대비 하락폭이 켜졌다.

한국부동산원`
[연합뉴스 제공]

서울 아파트값은 강남·송파구 일부 지역에서 토허제 해제 가능성이 거론된 지난 2월 첫째주 0.02% 오르며 상승 전환한 뒤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

구 전체가 토허제로 묶인 강남 3구와 용산구 모두 상승했지만, 상승률은 전주보다 떨어졌다.

강남구(0.20%)는 전주보다 상승률이 0.01%p 하락했으며 서초구(0.11%)는 0.05%p, 송파구(0.16%)는 0.12%p각각 줄었다.

한 주 전 0.20% 상승한 용산구도 이번주에는 0.13%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토허제 재지정에 따른 풍선효과가 우려됐던 마포(0.18%→0.17%), 성동(0.30%→0.20%), 동작(0.12%→0.09%), 양천(0.20%→0.14%), 광진(0.13%→0.06%) 등 토허제 대상 주변 구도 일제히 상승폭이 줄었다.

한국부동산원
[한국부동산원 제공]

부동산원은 "재건축 추진 단지 등 주요 선호단지에서는 매수문의 꾸준하고 상승 거래 체결되고 있으나, 일부 지역·단지에서는 매수 관망세 확대되는 등 서울 전체 지난주 대비 상승폭 축소됐다"라고 설명했다.

인천은 0.02% 하락하며 전월(-0.03%) 대비 하락폭이 줄었다.

경기도 과천(0.19%)도 상승폭이 전주(0.02%) 대비 절반 수준으로 축소됐다.

5대 광역시(-0.06%)와 지방(-0.05%), 세종시(-0.07%) 등이 전주와 같은 낙폭을 기록한 가운데 8개도(-0.05)는 낙폭이 확대됐다.

전세
[한국부동산원 제공]

전국의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은 상승세를 멈추고 보합(0.00%)을 나타냈다.

서울(0.05%→0.02%)과 수도권((0.04%→0.02%)은 상승폭이 축소됐다.

지방은 (0.00%→-0.02%)은 하락 전환했다.

아파트
[연합뉴스 제공]

부동산원은 "역세권, 학군지, 대단지 등 선호 단지에서 임차 수요가 지속되며 상승 계약이 체결되고 있으나 일부 구축 단지에선 전세가격이 하락했다"라고 설명했다.

서초구(-0.08%)는 낙폭이 확대됐고, 강남구(-0.01%)는 하락 전환했다.

송파구(0.15%→0.10%), 강동구(0.16%→0.07%), 동작구(0.10%→0.05%), 용산구(0.06%→0.05%), 마포구(0.06→0.04%) 등은 상승률이 둔화했다.

인천은 전주 0.01%에서 보합을 유지했다. 경기는 전주 0.03%에서 0.01%로 상승폭이 둔화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