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생산이 19개월 만에 최대 폭 증가하면서 3월 전산업생산이 전월 대비 증가했다.
건설업은 감소 전환했으며 서비스업 생산이 감소하고, 소매 판매와 투자가 줄어드는 등 내수 부진은 이어졌다.
통계청이 30일 발표한 3월 산업활동 동향에 따르면 지난 달 전산업생산 지수는 114.7(2020년=100)로 전달보다 0.9% 증가했다.
전산업생산은 지난 2월 1.0% 증가한 데 이어 이달까지 두 달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전산업 생산은 서비스업(-0.3%) 등에서 줄었으나 광공업(2.9%) 등에서 생산이 늘었다.
광공업 생산은 제조업(3.2%)을 중심으로 생산이 늘어 전달보다 2.9% 증가했다.
특히 D램과 플래시메모리 등 메모리반도체를 중심으로 반도체 생산이 13.3% 늘었다.
이는 2023년 8월(13.6%) 이후 19개월만에 최대 증가 폭이다.
의약품(11.8%)과 전자부품(7.8%) 생산도 증가했다.
기계장비(-3.1%), 석유정제(-9.3%) 등 업종은 생산이 줄었다.
제조업 재고는 전월 대비 2.4% 감소했으며 제조업 평균가동률은 74.9%로 전월 대비 1.7%p 상승했다.
건설업 생산은 토목과 건축에서 공사 실적이 모두 줄어 전월보다 2.7% 감소했다.

서비스 소비를 보여주는 서비스업 생산은 전달보다 0.3% 줄었다.
서비스업 생산은 ) 보건·사회복지(3.4%) 등에서 생산이 늘었다.
기계장비 및 관련 물품 도매업, 생활용품 도매업 등에서 감소하며 4월 도소매업 생산이 3.5% 감소했다.
금융·보험(-2.1%), 정보 통신(-2.1%) 등 업종도 생산이 줄었다.
재화 소비를 뜻하는 소매 판매 지수도 0.3% 감소했다.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2.8%), 의복 등 준내구재(2.7%)에서 판매가 늘었으나 통신기기·컴퓨터 등 내구재(-8.6%)에서 줄었다.
전년 동월과 비교하면 소매판매액 지수는 1.5% 증가했다.
지난 2023년 6월(1.5%) 이후 21개월 만에 최대 증가 폭이다.
소매업태별 판매에서 전년 같은 달 대비 백화점(-4.2%), 면세점(-10.3%) 등에서 판매가 감소했으나 전문소매점(3.9%), 승용차 및 연료소매점(4.2%) 등에서 판매가 증가했다.
설비투자는 전월보다 0.9% 감소했다. 자동차 등 운송장비(3.4%) 등은 투자가 늘었으나, 농업·건설·금속기계 등 기계류(-2.6%)에서 투자가 감소했다.
건설 수주 또한 기계설치 등 토목을 중심으로 줄면서 전년 동월보다 8.7% 감소했다.
현재 경기 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전달보다 0.3p 상승했다. 2월 0.1p 상승한 데 이어 2개월 연속 오름세가 이어졌다.
향후 경기 국면을 예고해주는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도 0.2p 상승하면서 두 달 연속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