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국내 제조 자동차의 외국 부품에 부과되는 일부 관세를 완화했다고 29일(현지 시각) 로이터 통신은 전했다.
하워드 루트닉 상무부 장관은 백악관이 제공한 성명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국내 자동차 제조업체 및 우리의 위대한 미국 노동자들과 중요한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어 “이번 합의는 국내에서 제조하는 기업들에게 보상을 제공하는 동시에 미국에 투자하고 국내 제조를 확대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한 제조업체들에게 활주로를 제공함으로써 대통령의 무역 정책의 주요 승리다"라고 말했다.
이 소식을 처음 보도한 월스트리트 저널(WSJ)은 이번 조치로 관세를 납부하는 자동차 회사에는 철강 및 알루미늄과 같은 다른 관세가 부과되지 않으며, 이미 납부한 관세에 대해서는 환급이 이루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백악관 관계자는 이 보고서를 확인했으며 화요일에 공식 발표될 것이라고 밝혔다.
자동차 부과금의 영향을 완화하려는 움직임은 금융 시장에 혼란을 일으키고 기업에 불확실성을 조성하며 급격한 경기 둔화에 대한 두려움을 불러 일으킨 관세에 대한 유연성을 보여주기 위한 조치라고 로이터 통신은 말했다.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월요일 초 트럼프 대통령이 디트로이트 자동차 3사와 1,000개 이상의 주요 자동차 공급업체가 있는 미시간주 방문에 앞서 자동차 관세 완화를 발표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었다고 말했다.
제너럴 모터스 메리 바라 CEO와 짐 팔리 포드 CEO는 계획된 변화에 환호를 보냈다.
바라 CEO는 “대통령의 리더십이 GM과 같은 기업들에게 공평한 경쟁의 장을 마련하고 미국 경제에 더 많은 투자를 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고 믿는다"라고 말했다.
팔리 CEO는 이러한 변화에 대해 “자동차 제조업체, 공급업체 및 소비자에게 미치는 관세의 영향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주 미국 자동차 산업 단체 연합은 수입 자동차 부품에 25% 관세를 부과하지 말라고 트럼프 대통령에게 촉구하면서 자동차 판매를 줄이고 가격을 인상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앞서 트럼프는 늦어도 5월 3일까지 자동차 부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자동차업계 단체들은 서한에서 “자동차 부품에 대한 관세는 글로벌 자동차 공급망을 뒤흔들고 도미노 효과를 일으켜 소비자의 자동차 가격 상승, 대리점 판매 감소로 이어질 것이며 차량 서비스 및 수리를 더 비싸고 예측하기 어렵게 만들 것이다”라고 지적했다.
GM, 도요타 자동차, 폭스바겐 , 현대자동차 등을 대표하는 이 단체들은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 대표, 스콧 베센트 재무부 장관, 상무부 루트닉 장관에게 서한을 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