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외곽에 있는 주택과 9억 원 이하 주택이 집값 하락에 상대적으로 취약할 수 있어 가계부채 위험 요인을 좀 더 세분화해 따져봐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송민규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4일 '가계부채 리스크(위험) 관리를 위한 주요 모니터링(감독) 사항' 보고서에 이렇게 말했다.
과거 3년간 집값 상승세가 이어졌지만, 향후 보유세 부담과 대출 규제 강화로 집값이 하락할 수 있다는 게 그의 예상이다.
송 연구위원은 "집값 하락에 따른 위험을 조기에 감지하려면 금융회사별 부실화 가능성뿐만 아니라 차주, 담보 물건의 특성에 따라 감독을 세분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서울 외곽에 있는 주택, 9억원 이하 주택 등이 집값 하락에 상대적으로 더 취약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러면서 "지난해 주택가격이 급등할 때 대출 규제 강조가 상대적으로 약했던 서울 외곽 지역의 주택담보대출비율(LTV)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추산되고, 가격대로 볼 때는 9억원 이하 주택의 LTV가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고 설명했다.
송 연구위원은 또 "집값 상승기에 대출 규제가 계속해서 강화했고, 이를 우회하기 위해 전세를 활용한 매입, 사적 차입 등이 적극적으로 활용됐을 것"이라며 "전셋값 등도 중점적으로 살펴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가계부채에 따른 이자 부담은 대출금리 기준으로 쓰이는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 등에 의존하는데, 이는 0∼3년물 채권의 시장이자율과 밀접히 연관된다"며 "단기물 시장이자율 변화에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가계소득과 주가 변화도 위험 관리 측면에서 지켜봐야 할 지표들"이라며 "산발적 부실화가 쌓여 금융시스템 리스크로 이어지지 않도록 대응책도 점검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