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코로나19 유행 상황을 지켜보면서 내달 추석 연휴(9.19∼22) 기간 가족간 모임과 요양원 면회 허용 여부 등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사회전략반장은 27일 정례 브리핑에서 "이번 추석 때 작년 추석이나 지난 설 때 시행한 것과 동일한 조치가 필요할 지, 혹은 가족 간 모임·요양원 면회를 허용할 필요성이 있을지를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손 반장은 "지난해 추석과 지난 설에는 가족 방문 자제를 요청했었고, 올해 설의 경우 전국적으로 4인 이상 사적모임 제한 조치가 전국적으로 시행됐다"며 "이 같은 방역 조치의 필요성에 대한 검토는 금주와 다음 주까지의 유행 상황을 지켜보고 여러 전문가의 의견을 심층적으로 취합해 결정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김부겸 국무총리가 오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에서 고강도 방역조치의 유행 억제 효과를 언급한 것과 관련해선 "현재의 유행 규모를 보고 (효과를) 판단할 수 있다"면서 "수도권 4단계가 7월 2주 차, 비수도권 3단계가 7월 3주 차에 시작되면서 전체 유행 규모가 감소세로 전환되지는 못했지만, 전주 대비 30∼50%씩 증가하던 확산세의 급등 추이를 차단했다. 현재는 유행이 증가하지도, 감소하지도 않는 정체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또 "전 세계적으로 델타형 변이 바이러스가 유행하면서 (해외에서) 기존의 5∼10배 가까운 확진자 급증 현상을 맞닥뜨리고 있는 점을 볼 때 거리두기 강화로 3배 수준에서 정체 국면으로 전환한 점은 일정 부분의 성과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중대본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으로 최근 1주일(8.21∼27)간 일평균 확진자 수는 1천713.1명이다.
이 중 수도권이 1천113.9명으로 직전 주(8.14∼20) 1천94.0명보다 19.9명 증가했고, 비수도권은 599.3명으로 직전 주(663.4명) 대비 104.1명 줄었다.
비수도권의 경우 지역별로 보면 경남권이 180.3명으로 가장 많고 이어 충청권(159.7명), 경북권(128.9명), 호남권(66.0명), 제주(32.6명), 강원(31.9명) 등의 순이다.
인구 10만명당 확진자 발생률로 보면 제주가 4.8명으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고 이어 수도권 4.3명, 충청권 2.9명, 경북권 2.5명, 경남권 2.3명, 강원 2.1명, 호남권 1.3명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