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담대한 구상' 거부한 북한 "핵과 경제협력 흥정 못해"

북한이 윤 대통령 취임 100일째인 지난 17일 순항미사일 2발을 발사한 데 이어, 담화를 통해 '담대한 구상'에 거부 의사를 드러냈다.

북한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은 19일 윤석열 대통령이 8·15 경축사에서 밝힌 비핵화 로드맵 '담대한 구상'에 대해 "어리석음의 극치"라며 "우리는 절대로 상대해주지 않을 것"이라고 거부 의사를 밝혔다.

특히 '담대한 구상'이 이명박 정부 시절 대북정책인 '비핵·개방·3000'의 '복사판'이라고 깎아내리면서 자신들의 '국체'인 핵을 경제협력과 흥정할 수 없다고 강하게 반발했다.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
▲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 [연합뉴스 제공]

아울러 정부가 '담대한 구상'의 전제 조건으로 북한의 진정성 있는 비핵화 의지를 강조한 대목을 강하게 문제 삼았다.

김 부부장은 "'북이 비핵화 조치를 취한다면'이라는 가정부터가 잘못된 전제라는 것을 알기나 하는지 모르겠다"며 세상에는 흥정할 것이 따로 있는 법이라고 꼬집었다.

한편, 이번 담화는 통신뿐만 아니라 북한 전 주민이 접할 수 있는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과 조선중앙방송 등을 통해서도 소개됐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15일 광복절 경축사에서 북한의 비핵화 조치에 맞물려 식량·인프라 지원 등 경제협력 방안에 정치·군사적 상응조치까지 제공하겠다는 '담대한 구상'을 북측에 정식 제안했다.

특히 정부는 북미관계 정상화와 재래식 무기체계 군축 논의 등 정치·군사적 상응조치도 포함된 부분을 '비핵·개방·3000'과의 차별점으로 앞세우며 북한의 호응을 촉구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