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아시아 최초의 민관협력형 매립가스 발전사업
-10년간 11만 톤의 탄소배출권 확보할 것으로 기대
정부가 민간기업과 협력하여 우즈베키스탄에 16MW(메가와트) 규모의 매립가스 발전 시설을 짓는다.
환경부는 녹색산업 수주지원단이 26일 우즈베키스탄 현지에서 재생에너지 솔루션 기업 세진지앤이가 주관하는 ‘타슈켄트 매립가스 발전 시설’ 착공식에 참석했다고 27일 밝혔다.
2024년 완공을 목표로 추진 중인 ‘타슈겐트 매립가스 발전 시설’은 중앙아시아 최초의 민관협력형 매립가스 발전사업이다.
이 사업은 쓰레기 매립지에서 나오는 메탄가스를 발전 연료로 전기를 생산함과 동시에 연간 72만 톤, 15년간 총 1,080만 톤 규모의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효과가 있다.
환경부는 이 사업에 총 27억 원 규모의 지분을 투자하였고 이를 통해 유엔으로부터 10년간 11만 톤의 탄소배출권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이번 투자는 정부가 해외 친환경 사업에서 감축한 온실가스를 우리나라의 온실가스 감축분으로 인정받는 중요한 첫 사례가 될 전망이다.

이날 착공식에서 천연자원부, 에너지부, 투자산업통상부, 타슈켄트주, 세진지앤이가 합동으로 ‘매립가스 발전사업 추진계획’에 서명했으며 발전소 건설 전력구매 등 관련 인허가도 올해 4월 내에 최종 완료될 전망이다.
환경부 유제철 차관은 앞선 25일 아지즈 압두하키모프(Aziz Abdukhakimov) 우즈베키스탄 천연자원부 장관을 만나 녹색산업 분야 협력 의향서(SOI, Statement of Intent)를 체결한 바 있다.
SOI는 양국 간 협력 의사 확인 문서로, 양해각서(MOU)의 사전 단계로 여겨진다,
환경부는 SOI를 통해 양국 간 환경 협력 강화와 추후 MOU 체결까지 이어나가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한편 유 차관과 압두하키모프 장관은 우즈베키스탄에 추가로 폐기물 위생매립장 5곳과 선별‧적환장 6곳을 건설하는 폐기물 복합 관리사업의 차관계약을 올해 내에 체결할 수 있도록 적극 협력하기로 했다.
환경부 유제철 차관은 “이번 녹색산업 수주지원단 파견은 환경부가 녹색산업 세일즈를 직접 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우리나라 녹색산업계가 전 세계를 무대로 활약할 수 있도록 해외 진출 지원에 총력을 다할 것”이라고도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