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셀트리온, 원료의약품 3공장 상업생산 개시

셀트리온은 인천 송도의 원료의약품 3공장이 지난 5일 생산 공정 완전성 적합검사(PQ)를 마치고 본격적인 상업생산에 돌입했다고 6일 밝혔다.

해당 공장은 지난 2021년 9월 착공해 지난달까지 총 27개월간 2700억 원 규모로 구축됐으며, 연면적은 약 2만 2300㎡(제곱미터)다.

또 3공장의 연간 원료의약품 생산량은 약 6만L(리터)로, 이를 통해 셀트리온은 기존 10만L 규모 1공장과 9만L 규모 2공장을 더해 총 25만L의 바이오의약품 생산 역량을 갖추게 됐다.

향후 3공장은 변화하는 바이오의약품 트렌드에 맞춰 바이오시밀러 등 다품종 소량생산에 초점을 맞출 방침이다.

특히 같은 양의 배양액에서 더 많은 약품 원료를 추출할 수 있는 ‘고역가’ 제품을 생산해 수익성을 높이는 것이 목표다.

셀트리온은 3공장의 설계상 생산량은 6만L에 불과해도 실제 생산량이나 매출 기여도는 기존 생산시설과 대등하거나 오히려 높은 수준을 보여줄 것으로 기대했다.

셀트리온 제3공장 전경 [셀트리온 제공]
셀트리온 제3공장 전경 [셀트리온 제공]

이를 위해 3공장에는 7500L 배양기 총 8개를 배치하고, 세포 증식 단계를 단축하는 신규 배양 공정 설비와 자동화 기술 확대 등 최신 기술이 집약된 것으로 알려졌다.

오염에 취약한 구역을 클린룸으로 구성하고 정제 과정에는 고농축 희석 방식을 적용하는 등 공정을 최적화했으며, 일부 장비는 국산화하면서 유지보수 편의성을 높였다.

한편 셀트리온은 현재 2026년 완공을 목표로 송도 캠퍼스 내에 신규 완제의약품(DP) 공장도 건설 중이다.

빠르면 2027년부터 상업생산을 개시할 수도 있는 DP 공장은 제품 수요 증가에 대응할 뿐만 아니라 원가 절감에도 도움이 된다는 설명이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바이오시밀러는 특허가 끝난 고가의 약품과 동등한 효능으로 더 저렴하게 판매하기 때문에 수요가 크다”라고 말했다.

이어 “내년까지 총 11개 바이오시밀러 제품의 판매 허가를 받고, 2030년에는 이를 22개 제품으로 늘려 세계 각국에 공급하는 것이 목표”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