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공식발표도 힘든 '취업애로계층' 220만명 넘어서

지난달 '취업애로계층'이 220만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청년층 실업자가 크게 늘면서 정부의 '일자리 창출' 정책에 비상이 걸렸다.

18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올 2월 실업자와 비경제활동 인구 가운데 취업이 어려운 계층을 포함한 취업애로계층은 220만명 초반대로 추정됐다.

재정부 관계자는 "지난달 취업애로계층은 225만명 수준으로 1월과 비슷할 것으로 보고있다"며 "청년층의 경우 대학생들이 졸업해 구직활동이 본격화 되고 있어 실업률이 당분간 높게 유지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지난해 취업애로계층 평균치인 182만명 수준 보다 높은 것으로 올들어 2개월 연속 200만명을 넘어서 정부의 적극적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취업애로계층' 이란 공식 실업자 뿐 아니라 일할 의사와 능력이 있는 비경제활동인구와 주 36시간 미만의 일하는 인구 중 추가 취업을 희망하는 사람을 합한 숫자로 사실상 실업자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세부 항목별로는 실업자가 116만9000명, 비경제활동 인구 중 취업 희망자(63만6000명), 취업자중 추가 취업 희망자(45만명) 등으로 나타났다.

비경제활동 인구 중 취업 희망자는 취업을 위한 학원·기관통학(고시학원,직업훈련기관 등) 인구 25만명과 취업준비생 38만6000명을 합한 수치다. 또 취업자중 추가 취업 희망자는 36시간 미만 취업자 중 일할 능력이 있고 취업을 원하는 사람을 포함한 것이다.

이같은 집계 결과는 지난 1월과 비교해 정부가 발표하는 공식 실업자는 4만7000명 줄었지만 서민들이 체감하는 지표인 '사실상 실업자'는 크게 개선되지 않았음을 보여주고 있다.

정부는 이와 관련 경기개선에 따른 구직자들의 기대감과 공공부문 일자리 사업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구직활동이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윤증현 재정부 장관은 앞서 올해 첫 국가고용전략회의를 마치고 가진 기자회견에서 "일자리 없이는 개인의 삶의 질이 나아질 수 없고 사회적으로도 활력이 생겨날 수 없다"며 "앞으로 공식 실업자 뿐 아니라 전체 취업애로계층으로 확대해 실업문제에 포괄적으로 접근하겠다"고 밝힌 바있다.

하지만 이와는 달리 정부는 취업애로계층을 공식 발표하는 데는 신중한 모습이다.

취업애로계층에 대해 자체적인 기준을 마련하고 이에 대한 내부적인 통계도 작성해 왔으나 시장에 혼란을 줄 수 있다는 이유 등으로 발표하지 않아온 것이다.

하지만 사실상 실업자가 300~400만명에 이른다는 언론보도가 잇따르고 정부의 공식발표와 차이가 커지자 지난 1월에는 '취업애로계층'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들고 나왔다. 또 올해 취업애로계층을 188만명으로 통제하는 등 정책적으로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

재정부 관계자는 "취업애로계층이 경기를 실제로 반영하는지에 대한 확신이 없고 이를 발표하는 것이 마나 도움이 될 수 있을지 파악중"이라며 "통계청과 협의중에 있으며 아직까지는 이를 공식적으로 발표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민간부문의 경기회복세가 확대되고 공공 일자리 사업이 본격화되는 3월부터는 고용지표가 개선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