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취재현장]되새겨봐야 할 ‘애플의 버림의 미학’

이제는 식상할 정도로 많이 언급된 ‘애플’발 스마트폰 혁명이 우리 기업들에게 미치는 영향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

이동통신사마다 향후 아이폰의 대항마가 될만한 스마트폰 확보에 열을 올리고 있으며 주요언론 및 기업들은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쏟아내면서 우리는 시대에 뒤쳐져 있지 않고 있음을 경쟁적으로 홍보하고 있다.

삼성전자와 LG전자 등도 아이폰 보다 뛰어난 하드웨어 성능의 스마트폰들을 이미 내놓았거나 출시를 앞두고 있다. 또한 어디를 가든지 ‘애플’이라는 두 글자만 들어가면 이슈가 된다. 마치 온나라가 애플 배우기와 따라잡기에 혈안이 되어있는 분위기다. 하지만 우리 기업들은 정말 제대로 애플을 배우려고 하는 것일까에 대한 질문에 기자의 답은 ‘글쎄’다.

최근 국내 아이폰 판매 증가 추세는 오히려 상승세이다. 경쟁업체들의 신제품 출시와 아이폰 4G 대기 수요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업계관계자들은 '우리 제품과 비교해 비싸고 실용적이지 않은데도 왜 다들 아이폰을 사려고 난리일까?'라고 고개를 가우뚱 거린다.

애플의 성공에 중심에 ‘버림’이 있음에도 이를 간파하지 못한 탓이다. 애플은 소프트웨어 회사임에도 애플리케이션 개발시장을 과감하게 개방했다. 또한 확고한 철학을 가지고 애플이 추구하는 디자인이나 사용자의 편리성을 위해 경쟁사들이 필수라고 생각했던 많은 것들을 버렸다. 이에 소비자들은 열광했고 애플의 성공으로 이어졌다.

우리 기업들도 애플을 진정 배우고자 한다면 겉만 따라 할 것이 아니라 기득권, 기존의 사고방식의 틀을 과감히 버려야한다.

손에 무언가를 계속 쥐고서는 새로운 것을 얻을 수 없다는 담백한 진실을 망각하면 시대를 바꾸는 혁신가는 절대 될 수 없다. 추종만해서는 언젠가는 사라진다는 것이 역사가 주는 교훈임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