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조영진 기자] 내년 4월부터 진행될 고리1호기의 계획예방정비에서 1929억원 규모의 설비교체 작업이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져 반핵단체들이 고리1호기의 수명연장을 4년 앞둔 상황에서 많은 비용을 투입해 설비를 교체하는 것은 2차 수명연장 절차에 돌입하는 것이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하며 강력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이 김제남 의원(무소속)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07년 고리1호기 계속운전 당시 한수원이 교체한 부품은 34종 559억원이었지만 2013년 4월 고리1호기 계획예방정비 때 설비를 교체할 예정인 부품은 12종 1929억원으로 2007년에 비해 3.5배나 많은 비용이 투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내년에 교체될 부품 중에는 원자로 헤드와 제어봉 구동장치(CRDM), 단열재 등 핵심부품이 포함돼 있는데, 이 부품의 교체비용만 651억원에 달한다.
김 의원은 "수명완료를 4년 남긴 상태에서 벌어지는 대규모 설비교체는 사실상 2차 수명연장을 위한 전조"라며 "핵연료 주기 등을 고려할 때 내년 여름 전력수요급증 시기를 지난 이후 고리 1호기 폐쇄절차에 돌입해야한다"고 말했다.
한편, 부산반핵시민대책위원회는 23일 오전 10시30분 부산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차 수명연장에 반대하고 고리1호기 폐쇄를 촉구할 예정이다. 고리원전 인근 주민들도 2017년 계속운전이 만료되는 고리1호기의 재수명연장에 반대하고 있는 상황이다.
한수원 김균섭 사장은 이날 국회 지식경제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고리1호기 1차 계속운전에 대해 "현재는 계획이 없다"고 답변했다.
![대출](https://images.jkn.co.kr/data/images/full/973872/image.jpg?w=60&h=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