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디지탈지노믹스 '분자진단 분야에 새바람'

[재경일보 김동렬 기자] 코스닥 상장회사 바이오스마트의 자회사인 디지탈지노믹스가 분자진단 플랫폼 '라보디엑스'(LABODxTM)를 개발했다. 디지탈지노믹스는 6일 서울 여의도 63빌딩에서 새로 개발한 신개념 분자진단 플랫폼 라보디엑스 발표회를 갖고 본격적인 양산 준비에 들어갔다.

분자진단은 질병의 원인이 되는 균 등의 DNA, RNA를 검출해 병의 원인, 감염 여부를 분석하는 방법이다. 현재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면역진단 뒤를 잇는 차세대 체외진단 방식이다.

디지탈지노믹스가 개발한 라보디엑스는 100% 자동화된 진단 시스템으로 기존의 분자진단에 비해 비용과 시간이 대폭 절감된다는 것이 특징이다.

기존 분자진단은 검사를 위해 복잡하고 많은 단계가 필요한데다 고가의 장비와 전문가 분석이 필요해 결과가 나올 때까지 평균 3일 정도의 시간이 소요됐다.

이에 비해 라보디엑스는 전문인력, 고가의 시약이나 장비가 없이도 추출한 DNA, RNA를 전용 칩에 올린 후 장치에 넣기만 하면 1시간 이내에 결과를 알 수 있다. 특히 동시에 여러 가지 절차를 진행할 수 있어(Multi process)로 다양한 균을 한 번에 판독할 수 있고, 장비의 크기가 기존 진단장치에 비해 작기 때문에 소규모 사업장에도 사용하기 쉽다는 것이 장점이다.

디지탈지노믹스는 라보디엑스에 대해 전기적 센싱 기술 원천특허를 미국 등 세계 여러 나라에서 출원해 보유하고 있다.
 
박혜린 디지탈지노믹스 대표이사는 "라보디엑스는 의료기기에 국한시키지 않고, 식품 위생 검사용으로 그 활용도를 넓혀 매출액과 수익성을 극대화 할 것이다"며 "식중독균 진단을 위한 검사비용은 저렴하지만 진단 칩을 대량으로 공급해 지속적인 성장이 가능한 기업으로 성장시킬 수 있다"고 자신감을 나타냈다.

라보디엑스는 1차적으로 식중독균 판독을 위한 분자진단 플랫폼으로 출시되지만, 분자진단 기술을 기반으로 다양한 진단 기기로 확장성도 가지고 있어 앞으로 수요가 적잖을 것으로 예상된다. 식중독 외에도 암 질병 조기 예후진단, 신종플루 등 감염진단, 21세기 맞춤형 의학시대의 필수인 개인 약물 대사진단, 구제역, 조류독감 등 수의진단, 군 생화학 무기 및 테러물질 검사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박혜린 대표는 "제품 양산과 판로 확보 등 추가적인 과제가 남아있다"면서도 "이번 제품 출시 자체가 분자진단 시장에 큰 획을 긋는 일인 만큼, 단기적 관점에서 접근하기 보다 디지탈지노믹스와 모기업인 바이오스마트의 장기 동반 성장동력이란 관점에서 지켜봐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