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김동렬 기자] "작년 '현재의 경제상황에 카드분사는 불가'라고 카드 분사를 불허했던 금융위에게 '지금은 당시에 비해 경제상황이 얼마나 나아졌다고 카드 분사 승인을 해주려 하는 것인지'를 묻지 않을 수 없다" (우리은행 노동조합 성명서 中)
우리은행 노조가 17일 성명을 내고, 금융위원회의 우리카드 분사 예비인가 승인에 대해 반대입장을 분명히 했다.
금융위는 지난 16일 정례회의를 열고 우리은행의 신용카드 부문 분할과 우리카드신용카드업 영위에 대한 예비 인·허가를 의결했다.
이에 대해 우리은행 노조는 "10년전의 피해를 재현할 수 있고 어려워지는 국내 경제, 조합원의 생존권 및 노사관계, 신설카드사를 위해 은행이 희생된다는 문제점 등 카드분사의 부당함을 계속해서 주장해왔다"며 "결국 금융위는 우리의 경고를 무시한 채 우리카드 분사를 허용하려는 우를 범하고 있다"고 했다.
리스크 관리를 강화할 시기에 공격적 영업을 하겠다는 것은 곧 2002년의 부실을 재현하겠다는 것과 다름없고, 카드 분사를 위해 은행에서 1조원 가량의 자본금을 출자하면 ROA, NIM, BIS, 수익 등 은행의 각종 재무지표를 약화시킨다는 것이 노조 측의 입장이다.
또 이에 앞서 지난 2002년 우리카드가 분사됐다가 2003년 카드대란을 겪는 등 부실로 인해 2년만인 2004년에 다시 은행과 합병됐던 일이 있었다. 이때 은행이 떠안았던 손실 규모는 1조5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금융은 지난 2011년 4월과 지난해에도 우리카드를 분사하고자 했는데, 금융당국은 카드업계의 과당경쟁 및 이로인한 가계부채 증가 등을 우려해 부적절하다고 판단했던바 있다.
하지만 현 상황이 당시보다 나아진 것이 없음에도 이번에는 금융위가 승인을 했고, 노조 측은 "오락가락 금융정책에 대해 개탄스러움과 한심스러움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며 반발하고 있는 것이다.
노조 관계자는 "비록 예비인가가 승인됐지만 아직 분사가 확정된 사항은 아니다"며 "금융위는 카드분사에 대한 결정을 재고해야 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