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9일 시작된 상용차 박람회 '현대 트럭&버스 비즈니스 페어'서 현대자동차는 친환경 상용차 전동화 라인업 구축 계획에 대해 발표했다.
현대차 상용차는 2025년까지 전기차 7종, 수소전기차 10종 등 총 17개 차종의 친환경 상용차 전동화 모델 라인업을 구축해 장거리, 도심 승객 수송 등 사용 환경에 맞는 다양한 차를 선보일 계획이다.
투트랙으로 운영한다. 수소 전기 기술은 1회 충전 운행거리가 긴 장거리 수송용 중대형 트럭, 고속버스에 적용하며 전기 시스템 기술은 도심내 물류 수송을 위해 적재 효율, 충전 인프라가 중요한 중소형 상용차에 선보인다.
도심 대기질 개선, 인접 도시까지 운행하는 시내버스에는 전기시스템과 더불어 수소전기 기술 등을 탑재한다.
이날, '카운티EV'를 최초 공개하기도 했다.
기존 디젤 모델보다 차량 길이가 60cm 늘어난 초장축 카운티EV는 128kWh 대용량 배터리가 탑재 돼, 1충전 주행거리가 200km 이상이며 72분만에 완충이 가능하다.
마을 버스, 어린이 탑승 버스의 특성을 고려해 안전을 최우선으로 했다고 전했다. 눈길, 빗길 안전 운전을 돕는 차량자세제어장치가 있고 4륜 디스크 브레이크가 장착 됐으며 어린이 시트, 시트벨트, 차량 후방 비상도어(어린이 버스용)가 적용됐다.
친환경 이미지에 어울리는 7인치 LCD 클러스터, 버튼식 기어레버를 적용했다.
마을버스 운행 시, 기존 디젤차 대비 연료비를 최대 1/3수준까지 낮출 수 있다고 설명한다.
현대차는 2017년에 최초의 전기버스인 '일렉 시티'를 선보였고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에서는 수소전기버스 시범 운행에 성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