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가 5G 관련 게임을 20일 출시했다.
'5G 스트리밍 게임' 출시 행사가 20일 오전, 서울 성동구 성수동 소재 카페봇에서 진행됐다.
KT는 통신 3사 중, 가장 늦었다. 앞서 SK텔레콤은 MS와, LG유플러스는 엔비디아와 5G 클라우드 게임을 독점 출시했다. KT 5G서비스담당 성은미 상무는 늦어진 이유에 대해 "조금 더 편리하게 만들기 위해, 그런 사업 모델을 만들려다 보니 경쟁사보다 조금 늦게 만나게 됐다"고 했다.
KT의 '5G 스트리밍 게임'은 모바일 기반의 스트리밍 게임이다. 5G 네트워크를 통해 게임 다운로드 없이, 서버에 저장된 게임에 접속하는 것을 말한다. KT 마케팅부문장 이필재 부사장은 "5G 서비스의 혁신은 스트리밍 게임에서 시작될 것"이라며 "개방형 플랫폼의 장점을 살려 다양한 게임 콘텐츠를 확보해 고객 만족을 높일 것"이라고 했다.
스트리밍 게임은 5G 서비스의 판도를 바꿀 주요 시장으로 주목 받고 있다고 KT는 설명한다. 시장조사업체 IHS 마킷은 클라우드 게임 시장규모를 지난 2018년 3억8700만달러에서 2023년 25억달러 수준으로, 약 6배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KT의 '5G 스트리밍 게임'은 구독형 서비스다. 넷플릭스처럼 월정액을 내면 콘텐츠를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100종의 게임을 무제한 이용 가능하다고 전하고 있다. 월 구독료는 1만원을 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지하철에서도 게임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해 KT 박현진 5G 사업본부장은 "아직은 안 되는 경우가 많을 것이다. 끊길 것이다"라며 "지방은 어느 정도 구축해 쾌적하나, 수도권은 협의 문제로 늦어져 품질이 열악한 게 사실이다. 빠른 시간 내에 개선할 것이다"고 답했다. 내년에 리더십 변경이 있게 되면 방향성 변화가 있을지에 대해 박 본부장은 "투자 계획이 달라질 일은 없다"고 했다.
"KT가 게임 사업에 본격적으로 진출하는 것이냐. 아니라면, 왜 직접하는 것이냐"란 지적이 나올 수 있는 점에 대해 박 본부장은 "게임 사업에 진출하는 것이 아니다. 차별화 부분이 중요했다. 시장을 좀 더 넓히고자 함이다"라며 "단순히 플랫폼만 들고와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이 안 됐다. 검토해 보니, 접속 환경도 굉장히 어려웠다. 가격 또한 저희가 원하는 정도로 설정하기 힘들었다. 이 때문에 유연성 있게 사업을 할 수 밖에 없었다"고 설명했다.
2개월 간의 무료체험 기간을 거쳐, 내년 3월 정식 출시될 예정인데, 3월 이후 큰 수익을 못 얻을 것 같다는 우려 표시에 대해 박 본부장은 "지연과 관련해서는 내부 테스트 결과, 그런 느낌을 거의 못받을 것이라고 판단됐다. 엣지 확장은, 서비스의 성장과 고객의 늘어남에 맞춰서 전국적으로 늘려갈 것이다. 첫 출발은 부산 쪽이 될 것이고 처음에는 일정금액을 부가서비스 형태의 월정액 모델로 출발한다. 금액은 납득 가능한 수준이 될 것"이라고 했다.
KT는 일종의 유통 채널이 되고자 하고 있다. 이 때문에 KT는 '개방성/확장성'을 언급한 것이다. 채널로서 역할을 해, 시장을 키워가겠다는 포부를 가지고 있다.
KT는 가장 늦긴 했으나, 향후 스마트폰뿐만 아니라 텔레비전과 PC 등 단말을 확장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