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기생충' 통해 관심 더 높아진 '짜파구리'..농심, 조리법 11개 언어로 유튜브 통해 소개

영화 '기생충'의 아카데미상 수상으로 '짜파구리'에 대해 관심이 높아진 상황이다.

농심은 자사 유튜브 채널에 '짜파구리' 조리법을 11개 언어로 소개하는 영상을 게재했다고 11일 전했다.

영화 '기생충'에 나온 '짜파구리'를 누구나 손쉽게 조리해먹을 수 있도록 다양한 언어로 조리법을 안내하는 영상을 제작했다고 농심은 전했다.

농심은 '짜파구리'가 세계 각지에서 영화 '기생충'이 개봉할 때마다 현지 요리 사이트와 SNS를 뜨겁게 달구며 인기를 끌고 있다고 했다.

지난 10일, 영화 '기생충'의 아카데미상 수상 소식이 전해진 후에는 "축하하는 의미에서 '짜파구리'를 요리해 먹어야겠다"라는 얘기가 SNS를 통해 전 세계로 번지기도 했다고 전했다.

농심은 세계 각국의 영화관에서 자사의 '짜파게티'와 '너구리' 제품을 나눠주며 '짜파구리' 홍보에 나서고 있다. 지난 7일부터 상영을 시작한 영국에서는 '기생충' 영화 포스터 패러디와 조리법을 넣은 홍보물을 제작해 '짜파구리'를 알리고 있다.

농심 관계자는 "한때 드라마의 인기로 중국과 동남아시아에 '치맥' 바람이 불었던 것처럼 문화 콘텐츠를 통해 한국의 식문화를 알리는 것은 식품 한류의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한다"며 "세계 각국의 거래선과 소비자들로부터 '짜파구리'에 대한 문의가 이어지고 있는 만큼, 해당 열풍을 이어갈 수 있게 다양한 홍보 활동을 펼쳐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짜파구리'는 지난 2009년, 농심이 운영하는 인터넷 커뮤니티에 한 네티즌이 자신만의 이색 레시피로 소개하며 화제가 되기 시작했다고 농심은 설명했다. 이후로 소비자가 취향대로 제품을 요리해 먹는 '모디슈머(Modify와 Consumer의 합성어)' 트렌드가 번지며 '짜파구리'는 '모디슈머' 열풍의 원조로 꼽히고 있다고 전했다.

참고로, '짜파구리' 조리법은 먼저, 끓는 물에 짜파게티면, 너구리면과 후레이크를 넣고 4분 30초간 끓이고 둘째, 면수를 150mL(약 2국자) 남기고 나머지 물을 버리고 셋째, 짜파게티 분말스프 1개, 너구리 분말스프 1/2개, 올리브 조미유를 넣고 비비고 넷째, 골고루 섞어주며 약한 불에서 30초간 볶으면 완성된다.

'짜파구리'와 관련, 영화 '기생충'에서 부잣집 사모님으로 나오는 연교(조여정)의 가족은 여행을 가게 되는데, 이후 포기하고 돌아오게 되는 장면이 있다. 해당 장면은 긴장감이 감도는 부분이다. 결국, 가족은 돌아왔고 이후, 연교는 '짜파구리'에 한우 채끝살을 결들여 먹는 모습이 나온다.

봉 감독은 '너구리' 마니아로 알려져 있고 그는 영화에서 '짜파구리'란 용어를 사용하기 위해 농심에 미리 양해를 구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
▲'짜파구리' 영국 홍보물
​
​ ▲'짜파구리' 영국 홍보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