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0만원을 들여 옵션을 추가 했는데 2열 독립 풍량 조절이 안 된다."
제네시스 'GV80'의 공조 장치는 1·2열이 묶여 있고 3열이 따로 있고 현대자동차 '팰리세이드'는 1열 따로, 2·3열이 묶여 있다. 이는 '바람'과 관련된 것이다.
GV80의 1열과 2열의 바럄 양을 각각 조절 할 수 없다는 부분에 대해 "GV80가 고급 차인데, 이렇게 만들면 되는 것이냐"란 비판이 나온 것에 대해 언급하고 있는 것이다. 반면, 팰리세이드는 1·2열의 바럄 양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GV80가 고급 차인데, 팰리세이드 보다 못한 게 말이 되는 것인지에 대한 지적이 나오게 된 것이다.
GV80 정도면 1열 운전석과 동승석의 바람 양을 각각 조절 할 수 있게 해야 하고 2열 또한 바람 양 선택이 가능해야 이 같은 차량을 '고급 차'로 부를 수 있는 것 아니냐라는 말이 언급된 것이다.
GV80의 3열의 경우는 따로 넣어줘 바람 세기를 조절할 수가 있다.
그러나, 자동차 전문가의 말을 들어보면, 제네시스 'G80'도 그렇고 현대차 '싼타페'도 다 GV80와 동일한 형식으로 돼 있으며 이는 자연스러운 것이고 그렇게 까지 문제가 될 부분은 아니라는 말을 한다. 1·2열의 온도는 달리 할 수 있으나, 바람의 양을 별도로 할 수 있는 차는 별로 없다고 했다.
부정적 언급이 나오는 이유는 팰리세이드 때문이다. 이 차는 1열 블로어(BLOWER) 모터가 따로 있고 2열과 3열이 또 따로 쓰고 있다.
해당 사항의 문제는 1열 따로, 2·3열 묶는 게 낫냐라는 부분과 1·2열이 묶여 있고 3열을 따로 하는 것이 나은 것인가 하는 점이다. GV80의 이 점에 대해 설계 오류라고 볼 수 있기도 하며 2열을 위해 비용을 좀 더 써야했을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 상태다. GV80의 3열의 경우, 구조상 바람을 멀리서 빼올 수 없어서 독립 공조로 돼 있고 1·2열이 묶여 있는 것인데 팰리세이드와 비교해 '고급 차' 부분을 언급하며 비교/비판이 나온 것이다.
GV80를 봤을 때, 1열과 2열을 따로 하게 되면 돈이 많이 들어 어쩔 수 없는 점이 있다고는 하나, "그래도 GV80가 고급 차 아닌가"라는 말이 나오게 되며 비판적 언급이 누그러지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GV80의 출시가는 6037-6937만원, 팰리세이드는 3397-4347만원이라, 해당 사항에 대한 불만이 더 수면 위로 떠오르게 만드는 점이 되고 있다. 세그먼트는 두 차량 모두 대형 SUV로 구분된다.
GV80와 관련한 포털의 한 카페에 들어가 보면, "GV80 공조장치 부분에 대해 왜 이렇게 민감하게 반응하는지 모르겠다"라며 "여기서 아무리 문제 제기를 한다고 해도"라고 말한 이가 있는데, 이를 통해 GV80의 공조 장치 문제와 관련해 이미 많이 언급이 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해당 말을 한 글쓴이는 "GV80의 공조 장치 문제는 고칠 수 있는 부분이 아니다. 그냥 타야 한다"라며 "차는 좋은데 공조 장치가 마음에 안 들어서 안 살 것이라는 건가. 마음에 안 들면 안 사면 된다. 각자가 판단해야 할 듯 하다"라고 썼다.
해당 글에 대한 한 댓글에는 "'기본'도 아니고 옵션 비용을 지불한 결과가 이렇다는 것이 화를 나게 하는 점이 되는 것"이라며 "이게 분노를 유발한 거라고 보여진다"고 했다.
GV80에 탔을 때, 2열에서 바람 조절을 하면 1열에서도 동일한 양의 바람이 나오게 된다는 것은, 고급 차에 걸맞지 않은 차량 실내 구조가 될 수 밖에 없는 것 아닌지 생각하지 않을 수 없게 된다.
